펑크 Dictionary
“Sex Pistols in Paradiso – Johnny Rotten & Steve Jones” by Nationaal Archief, Den Haag, Rijksfotoarchief: Fotocollectie Algemeen Nederlands Fotopersbureau (ANEFO), 1945-1989 – negatiefstroken zwart/wit, nummer toegang 2.24.01.05, bestanddeelnummer 928-9663 – Nationaal Archief. Licensed under CC-BY-SA-3.0-nl via Wikimedia Commons. 100 Club 영국 런던에 위치한 전설적 펑크 클럽.’76년 런던 펑크의 태동기에 섹스 피스톨즈(Sex Pistols),클래시(The Clash), 댐드(The
Ska
“The Specials” by Robman94 – Own work. Licensed under CC BY-SA 3.0 via Wikimedia Commons. 스카가 처음 출현한 것은 59년 또는 60년 자마이카에서였다. Derrick Morgen 이라는 가수가 59년에 처음으로 스카 음반을 녹음했다고 알려져 있다. 스카에 관해 논할때는 Prince Buster -Cecil Campbell이라 알려져 있다.-라는 이름을 언급하지 않을수 없다. 그는 당시로선 새로운 것이라 보여지는 리듬비트 방식을 선보였다.
Ska Revival
“The Selecter Berlin 1980” by Braunov – Own work. Licensed under CC BY-SA 3.0 via Wikimedia Commons. Ska는 60년대 초반에 생겨난 음악장르이다. 당시 저매이카인들은 뉴올리언즈의 R&B 스타일을 재창조해내려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으로 스카 아티스트들은 특유의 리듬과 멜로디적 감각을 개발해냈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은 레게(Reggae)로 발전했다. 70년대 후반 일단의 영국 밴드들은 오리지날 스카 싸운드를 복구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들은
펑크(Punk)
By Pax – Transferred from pl.wikipedia.org to Commons., Public Domain, Link 일반적으로 펑크라고 하는 용어는 반사회적으로 행동하는 십대나 어린아이에게 적용된다. 또한 이용어는 1950년대 테디스(Teddies)의 최신 변형과 1960년대 모즈(Mod)족, 1970연대의 런던에서 볼 수 있던 특별한 의상 스타일을 묘사하는데 쓰이곤 했다. 미국에서는 비트닉스(비트족)나 히피가 어느 정도 유사한 용어로 쓰였다. 펑크는 이들과 어느 정도 달랐다. 왜냐하면 펑크는 법
영국 테크노의 역사
영국 테크노의 역사는 곧 테크노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영국의 테크노의 태동에서 변천을 거쳐 현재의 대중화에 이르기까지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 비단 테크 노만이 영국 대중 음악의 진보적이고 실험적인 경향을 대변해온 장르는 아니겠지만, 테크노의 변천 추이를 되짚어 보면 70년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모든 영국 대중 음악의 기술적인 발자취와 거의 상통한다는 점에서 진보정신의 순수한 모태의 중요한 의미를
Acid House
애시드 하우스는 하우스에서 파생된 것임에도 주류 하우스의 안티테제로서 등장하였기 때문인지 하우스와는 유사성보다 차별성이 더 두드러진다(하우스의 흑인적인 냄새는 애시드 하우스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하우스는 미국에서, 애시드 하우스는 유럽에서 배양된다). 애시드 하우스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롤랜드 TB-303 아날로그 신서사이저인데, 그 몽환적이면서 미니멀한 특유의 TB-303 모듈레이션(modulation:변조) 음원은 애시드하우스 자체를 대표한다. 애시드 하우스는 레이브가 절정에 달했던
Ready To Dancing?
지난 호 까지 힙합 문화와 음악에 관해 알아 보았다. “1990년대는 힙합과 테크노만 있을 뿐이다.” 라는 다소 과격한 말이 있을 정도로 1990년대부터 현재 까지 힙합과 테크노는 전세계적인 붐을 타고 우리의 주변에 산재해있다. 하지만 국내의 테크노라 하는 음악들은 말 그대로 돈벌이에 급급하여 심하게 왜곡 되고, 음악자체를 조롱한 ‘댄스가요’ 일 뿐 의식과 사상이 존재하는 ‘댄스뮤직’이 절대 될 수
Kraut-rock
“Schulze and Gerard 01” by arcsi – Lisa ?piewa, Klaus sprawdza Facebook. Uploaded by S1. Licensed under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KRAUT-ROCK 70년대 초반의 프로그레시브한 경향 중, 특히 음원(sonic)의 창조적 확장성에 각별한 관심을 가졌던 독일의 전자 음악을 총칭하여 ‘크라우트-록(Kraut-rock)’ 이라 일컫는다. 당시 영미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이 재즈나 클래시컬한 성향으로 진화해갔던(<-아트록) 것과는 달리 독일 크라우트-록커들은
카테고리
최신 글
태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country.kr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