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노년기

Harold and Maude

영화역사상 가장 기괴한(?) 연인으로 기록될만한 자격이 있는 Harold 와 Maude 가 – 이 정도의 포쓰로 기괴한 연인으로 언뜻 생각나는 정도는 Ghost World 의 이니드와 세이모어 정도 – 펼치는 아름다운 사랑이야기.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으로 수시로 엄마나 소개팅 상대 앞에서 자살 연기를 펼치는 십대소년 Harold 의 또 하나의 취미는 낯선 사람의 장례식에 참가하는 것. 그런데 거기에서 똑 같은 취미를 가진 한 이상한 할머니를 만나게 된다. 어려보이기는(?) 하지만 낼 모레면 여든이 된다는 Maude 할머니. 수시로 남의 차를 훔쳐 타고 말라 비틀어져 가는 가로수가 불쌍하다며 숲으로 옮겨 심는 대담한 짓을 서슴지 않는 혈기왕성한 이 노인네는 죽음을 동경하는 Harold 와 달리 너무나 열정적인 삶의 예찬자이다. 이 어울리지 않는 두 사람의 감정은 마침내 우정에서 사랑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 두 세대를 훌쩍 뛰어넘는 영화에서의 이들의 사랑이 변태적이라고 느껴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성장배경, 삶에 대한 태도, 나이 등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 두 캐릭터를 관통하고 있는 공통점, 이른바 경직되고 속물적인 부르주아적 가치관에 대한 냉소라는 공통점을 공유하고 있다는 설정 때문이다. 이는 동시대 영화로 크게 논쟁이 되었던 Easy Rider 나 M.A.S.H 등이 보여주었던 시대정신이기도 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가 선명하게 빛을 발할 수 있었던 것은 Maude 역을 맡은 Ruth Gordon 의 나이에 어울리지 않는 너무나 사랑스러운 연기 때문이다. 영화를 찍을 당시 실제로 75세였던 이 노배우는 앙증맞은 표정, 발랄한 몸동작, 멋진 노래솜씨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매력적인 Maude 의 캐릭터를 재현해내고 있다. 또한 상대역인 Harold 역의 Bud Cort 역시 장난기 넘치는 동그랗고 큰 눈을 이리저리 굴리면서 체제와 삶에 반항하는 질풍노도의 십대를 자연스럽게 연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 두 배우의 호연은 삶을 거부하는 십대와 죽음을 거부하는 팔십대라는 선명한 대비 속에 펼쳐지는 갖가지 아기자기한 에피소드를 통해 더욱 빛나고 있다. Harold 가 Maude 의 팔에 새겨진 문신(수용소에서 새겨진)을 발견하는 장면, 둘이 Harold 의 바보 같은 군인 삼촌 – 경직된 보수세력을 상징하는 – 을 속이는 장면, 가로수를 옮겨 심기위해 과속으로 달리면서 경찰을 따돌리는 장면 등은 이 영화의 명장면들이다.

In the Heat of the Night, The Thomas Crown Affair 등 문제작을 선보였던 Hal Ashby 가 감독을 맡았고 Cat Stevens 가 음악을 담당해주었다.

Gods And Monsters

초기 공포영화의 걸작으로 꼽히는 프랑켄슈타인, 투명인간 등을 감독했던 James Whale 의 말년에 초점을 맞춘 일종의 전기 영화. 동성애자임을 커밍아웃하였고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가 사랑하는 연인이 죽은 채 철망에 걸린 상황을 트라우마로 간직한 이 노감독은 몸이 쇠약해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색을 밝히고 15년을 함께 해온 신앙심 깊은 가정부를 이를 끔찍하게 혐오한다. 그 와중에 근육질의 정원사가 새로 고용되고 James 는 그에게 또다시 눈독을 들인다.  스스로 게이인 Ian McKellen 이 참 맛깔스럽게 James Whale 을 연기하고 있다. 엄청난 마초주의자이면서도 한편으로 동성애자를 이해해가는 정원사 역으로 딱 어울리게 둔탁하게 생긴 Brendan Fraser 가 맡고 있다. 노년의 성, 그것도 동성애가 담겨져 있다는 점에서 흔하지 않은 소재이긴 한데 비슷한 소재로는 일본영화 ‘메종드히미코’가 있다.

Cocoon

이 영화에 따르면 전설의 대륙 아틀란티스는 실존했던 대륙이었고 외계인들의 지구 전진기지였다. 영원한 삶을 영위하는 이 신비로운 외계인들이 어느 날 지구에 남겨진 그들의 외계인 동료(정확하게 말하자면 커다란 고치[cocoon]속에 잠들어 있는 외계생물체들)를 데려가기 위해 지구로 왔다. 그들은 배를 빌려 알을 건져내는 한편 그 알들을 임시로 얻은 저택의 수영장에 보관한다. 그런데 그 수영장은 이웃 양로원의 장난기심한 노인들의 놀이터였다. 이들 노인들은 새 주인에 아랑곳하지 않고 수영을 즐기는데 갑자기 원기가 왕성해지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그들의 삶은 젊은이들의 삶에 못지않은 활기찬 삶으로 변신하게 된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영생의 꿈이 실현된다는 설정의 독특한 소재의 SF 영화이다. Don Ameche, Wilford Brimley, Jessica Tandy(히치콕의 The Birds 의 히로인) 등 연로하신 과거의 스타들이 역동적인 연기를 선보이느라 꽤나 고생하셨을 것이 눈에 선한 이 작품은 이 덕분인지 그 해 아카데미에서 Don Ameche 에게 남우조연상을, 특수효과 제작팀에게는 특수효과상을 선사했다. 반면에 빼어난 미모를 자랑하는 외계인 역의 Tahnee Welch(라퀄웰치의 딸)은 안 따라주는 연기 탓에 이 작품 이외에 이렇다 할 대표작이 없는 형편없는 연기경력을 쌓게 된다. 후속편은 전편만큼의 호평을 받지는 못했다.

What Ever Happened to Baby Jane?

What Ever Happened to Baby Jane? (1962).jpg
What Ever Happened to Baby Jane? (1962)” by The poster art can or could be obtained from Warner Bros. Pictures.. Licensed under Wikipedia.

캐시 베이츠가 Misery에서 식칼로 관객들을 위협하기 28년 전에 이미 베티 데이비스가 특유의 그 가공할(!) 눈매 하나만으로도 – 이 시점에서 Bette Davis Eyes 를 BGM으로? – 관객을 넉아웃시켰다. Kiss Me Deadly 등으로 B급 무비의 거장으로 떠오른 로버트 알드리치의 1962년 작으로 연예계에 종사하던 자매의 갈등이라는 독특한 소재로 이 몸서리치는 공포영화를 창조해냈다.

Baby Jane 은 춤과 노래의 신동으로 가족의 자랑거리임은 물론 자신을 캐릭터로 한 인형이 나올 정도의 아역스타이다. 그런 그녀를 무대 뒤에서 바라보는 언니 Blanche 는 분노의 눈물을 삼킨다. 세월은 흘러 둘이 성인이 되었을 즈음에 상황은 역전이 되었다. Blanche 는 최고의 흥행배우로 성장했고 Jane 은 천덕꾸러기 싸구려 배우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그럼에도 언니 Blanche 는 그런 동생을 감싸준다. 그러던 어느 날 끔찍한 교통사고 Blanche 가 하반신 불수가 되면서 그녀의 연기 인생을 막을 내린다. 사람들은 Jane 이 질투심에 일으킨 사건이라고 수군거린다. 세월이 흘러 초로의 여인들이 된 자매는 한집에 살면서 옛 추억을 곱씹으며 세월을 보내지만 어느 날 Jane 의 행동이 이상해지면서 영화는 급반전하게 된다.

가족이라는 테마를 공포영화의 소재로 사용한 감독의 가치전복적인 발상이 놀라운 영화이지만 그러한 반문화적인 쾌감에만 기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탄탄한 구성과 배우들의 신들린 연기 – 특히 김완선보다 더 무서운 눈의 소유자 베티 데이비스의 연기는 너무 사실적이어서 눈살이 찡그려질 정도다 – 등에 힘입어 독특하고 매혹적인 한편의 가족공포물의 걸작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또한 반전에 반전을 거듭한 충격적인 라스트신은 그 충격이 가히 찰턴 헤스턴이 절망에 무릎을 꿇어야 했던 ‘혹성탈출’ 급이라 할만하다.

Cocoon 2 : The Return

1편을 보지 못하고 2편부터 봐버렸다. 덕분에 처음에 극의 흐름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난독증 증세를 보이며 작품을 감상해야 했던 어려움이……. 1편은 대충 어느 날 나타난 외계인들이 노인들의 원기를 회복시켜주어 제2의 청춘을 살게 되고 결국 그들과 함께 영원히 늙지 않는 행성을 날아간다는 다소 특이한 소재의 에스에프 영화였다. 2편에서는 이런 그들이 지구에 남겨놓은 코쿤(외계생명이 자라나는 큰 알)이 위기에 처해있음을 알게 되고 다시 되돌아와 코쿤을 회수해나간다는 스토리다. 이 큰 줄기를 둘러싸고 가족의 재회, 지구로 돌아옴으로써 재발하는 노인들의 병, 지구에 남았던 다른 친구의 과거에 대한 완고함 등 노인들과 가족들 사이에서 생기기 마련인 인생사의 고민 등이 에피소드로 펼쳐진다. 전편의 후한 점수에 비해 이 작품은 좋은 점수를 받진 못했지만 노인들의 삶에 대한 노련함과 완고함, 죽음에 대한 여전한 두려움 등 세세한 감정들이 묘사되어 있어 드라마적 기반은 탄탄한 편이다. 연구원으로 등장하는 The Friends 의 히로인 Courteney Cox 의 젊은 시절도 감상할 수 있는 작품.

Terms of Endearment

태어나서 자라서 부모에게 반항하고 사랑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늙어가다 죽는 게 사람의 인생이다. 이 영화는 인간의 거의 예외 없는 이러한 삶을 엠마(데보라윙어)의 삶과 죽음을 통해 조명한다. 특별한 기교나 반전 없이 엠마와 그를 둘러싼 가족들의 변해가는 삶을 관찰하는 이 작품은 초반 엠마의 밝은 성격으로 말미암아 다소 가벼운 로맨틱코미디의 분위기로 흘러가다 어느 날 엠마가 우연히 병원에서 종양을 발견하며 신파조의 – 그렇다고 너무 청승맞지 않은 – 멜로물로 전환한다. 중간 중간 엠마의 엄마(셜리맥클레인)과 이웃집 남자(잭니콜슨)가 벌이는 애정싸움도 볼거리다. 엠마가 죽는 순간 이미 애정이 식어버린 남편이 잠이 들었다가 깨는 장면이 여운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