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외계인

Repo Man(리포맨, 1984)

Repo Man CD cover.jpg
Repo Man CD cover” by The cover art can be obtained from MCA.. Licensed under Wikipedia.

이 영화는 현대 자본주의의 존립근거가 신용사회, 즉 ‘상호간의 믿음’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리고자 하는 영화라기보다는 우주인의 UFO 라는 것이 반드시 우리가 통상 알고 있는 접시 모양이 아니라 자동차 모양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하는 영화일 수도 있다.

“뭐 재밌으면 됐잖아”

라고 감독이 한마디 할 것 같은 느낌이다.

펑크 음악에 대한 애정이 유난할 것 같은 – 그래서 실제로 차기작으로 펑크씬에서의 로미오와 줄리엣인 시드와 낸시에 관한 영화를 만들기도 했던 – 감독 Alex Cox 가 바로 그 펑크적 감성으로(“연주 못하는 게 뭐? 신나면 되잖아?”) 만들었고 의도한 바대로 영화사에서 Rocky Horror Picture Show 등과 함께 대표적인 컬트 아이콘이 되었다.

찰리쉰과 따로 떼어놓으면 모르겠지만 옆에 두면 형제인줄 알 것 같은 에밀리오에스테베즈가 질풍노도의 펑크족에서 현대 신용사회의 뒤치다꺼리를 도맡은 Repo-Man(Repossesing Man의 준말로 자동차를 할부로 사고 할부금을 갚지 않는 사람들의 차를 다시 ‘재소유’ 즉 뺏어오는 직업을 의미한다고)으로 변신한 Otto 역을 맡았고, 따분하고 지저분한 중년을 대표하는 듯한 외모의 소유자 Harry Dean Stanton 이 밤낮으로 일하면서도 변변히 모아둔 것도 없는 중년 리포맨 Bud 역을 맡으면서 에밀리오와 투탑을 이루고 있다.

어쨌든 이 둘을 축으로 차를 뺏어오는 과정에서의 에피소드, 자주 들르는 편의점에서 이어지는 펑크족 강도들과의 만남, 외계인 시체를 트렁크에 실은 채 정처 없이 떠도는 과학자와 이를 뒤쫓는 정부기관 간의 해프닝 등이 상영시간 내내 골고루 배합되어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만들어진 작품이다.
 — 그저 스쳐지나가는 장면이면서도 매우 흥미로운 장면이 있는데 Otto 가 이전에 친구였던 펑크족 강도들을 슈퍼마켓에서 맞닥뜨리는 그 짧은 몇 초에 매우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다. 슈퍼마켓의 진열장의 상품들이 하얀 포장에 그저 Food, Milk 등만 쓰여 있다는 점이다. 선진화된 미래의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저러지 않을까 싶은 그런 초현실적인 느낌이 들었던 이 장면은 어느 블로거에 따르면 스폰서가 붙지 않은 탓에 억지로 찍어서 그렇다고 한다. 그런 한편으로 어쩌면 감독이 초창기 애드버스터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한편으로 이와 반대로 토마토 공격대 2탄에서는 스폰서가 붙어야 영화 펀딩이 되는 영화계의 현실을 비꼬아 아예 노골적으로 상품광고를 하는 우스꽝스러운 장면을 연출하기도 하였다)

 — Bud 가 Otto 에게 ‘믿음’이 기반을 두는 신용사회가 맘에 든다면서 러시아에서는 이런 사회를 꿈이나 꾸겠냐고 일갈하는 장면이 있는데 매우 의미심장한 대화이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가 결국 끊임없이 주입되는 과잉소비의 지출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할부소비나 외상을 조장해왔고 오늘날 이러한 왜곡된 지불행태 없이는 자본주의가 존재할 수 없음을 잘 설명하고 있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 리포맨은 바로 그러한 소비와 지불의 간극에서의 갈등을 해결하는 ‘응달 속의’ 집달리 들인 것이다. Bud 가 자본주의의 더러운 쓰레기나 치우는 마름이면서도 자본주의를 좋아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이점 때문이다.

Battle Beyond the Stars

스타워즈(1977)와 ‘7인의 사무라이’(아니면 이 영화를 패러디한 ‘황야의 7인’)을 짬뽕하여 철저히 흥행을 노리고 만든, 그러나 참 심심한 작품. 제작 로저 코먼 프러덕션, 시나리오 존세일즈, 미술감독 제임스카메론, 조지페파드(A특공대의 맏형)와 로버트본(‘황야의 7인’에도 출연했던)의 쌍끌이 조연 등 나름대로 호화진용이었다. 하지만 음악에서부터 너무 스타워즈를 베낀 티를 역력한데다 전투장면은 왜 그리도 어둡고 두서없는지 하는 생각이 든다. 결정적으로 주인공 Shad 역을 맡은 리차드토마스는 정갈하게 머리빗은 70년대 회사원풍의 가녀린 외모를 하고서는 어찌 그리 죽도 못먹은 사람마냥 힘없이 연기하는지 보는 사람이 지루할 정도이다.(뺨에 점은 또 왜 그리도 커보이는지) 다만 네스토라 불리는 외계인 캐릭터 설정은 나름 볼만 했다. 그러나 어쨌든 나름대로 틈새시장을 노린 이 작품은 로저 코먼이 80년대 내놓은 영화중 가장 좋은 흥행성적을 남겼다고 한다.

Not Of This Earth

Roger Corman 감독의 1957년 작을 원작으로 한 SF 영화. 몇몇 상황설정을 제외하고는 – 그리고 여성들이 보다 성적으로 개방적이고 나체를 많이 보여준다는 점 등 – 오리지널과 다르지 않은 스토리로 진행된다. 특기할 점은 포르노스타로 이름을 날리던 Traci Lords 가 간호원 역으로 출연한다는 점이다. 그녀는 이 후 Johnny Depp 이 출연한 컬트 무비 Cry Baby 에 출연하는 등 나름대로 진지한 연기활동을 펼쳐나간다. 배우들의 연기는 한층 어색해져서 보는 사람들이 민망할 정도이다. 다만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특수효과는 진일보하였다. 개봉 당시 미국내 극장 수입은 8만 달러에 불과했다 한다. 포스터에서 보이는 저 괴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Not Of This Earth

훗날 평론가들이 50년대 외계인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 공산주의 진영과의 냉전에 대한 두려움, 흡혈귀 전설의 현대적 해석 등 다양한 은유를 집어냈지만 그 상징이야 어찌되었든 하나의 서브장르로써의 외계인을 소재로 한 공상과학 영화는 아무 생각 없이 주말저녁 다운타운의 극장가에 가서 즐기기 딱 좋은 장르였다. 그리고 저예산 영화제작의 산 증인 Roger Corman 은 누구보다도 이러한 점을 잘 꿰뚫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957년에 제작된 Not Of This Earth 는 저예산 SF 무비의 전형으로 남을 만하다. 물론 메이저스튜디오에서 제작된 영화에 비해서는 어이없을 정도로 우스운 광경도 연출된다. 배우들의 연기는 어색하기 짝이 없고 조명은 쓰지도 않은 것인지 수시로 배우들의 얼굴은 암흑에 가려진다. 영화 후반에 등장하는 어이없는 외계 괴물은 헛웃음을 짓게 할 정도다.

그럼에도 외계생명체, 피, 최면술, 텔레파시 등 대중들의 이목을 끌만한 B급 소재를 깡그리 긁어모아 만들어진 이 현대판 (외계인) 드라큘라는 그 조합이 나름 그럴듯하여 평론가들의 호의적인 평가를 얻었고 그 뒤 두어 번에 걸쳐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Immortel Ad Vitam

불어권에서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만화가이면서 종합예술인을 지향하는 Enki Bilal 이 자신의 걸작으로 불리는 소위 ‘니코폴 3부작’을 직접 감독을 맡아 영화한 작품이다. 독수리 머리를 한 신 Horus, 정치적인 이유로 유배당했다가 Horus 에게 이용당하는 – 또는 구원받는 – Nikopol, 수수께끼의 여인 Jil 은 원작에도 이 영화에도 모두 등장하여 중심 스토리를 구성한다. 다만 그 역할은 많은 차이가 난다. 몇 년에 걸쳐 꾸준히 발표되어 마침내 3부작을 이룬 원작은 영화 한편에 담을 수 없을 만큼 방대한 스토리와 상징적인 은유를 담고 있기 때문에 부득불 Enki 는 비슷한 설정을 새 스토리를 구성할 수밖에 없었으리라. 

장소는 원작의 파리 대신 뉴욕. 뉴욕 하늘에 언젠가 모르게 피라미드 모양의 거대한 우주선이 떠있고 그 안에는 동물머리를 한 고대 이집트의 신들이 머물고 있다. 영원한 삶을 박탈당할 위기에 있는 Horus 에게 단 일주일의 시간이 주어졌고 그는 Nikopol 의 몸속에 들어가 자신의 영원성을 이어줄 – 즉 아기를 낳아줄 – 여인을 찾는데 그가 바로 Jil 이다. 이러한 연유로 원작에서 일종의 프로메테우스와 같은 역할을 했던 Horus 는 대를 잇는데혈안이 된 신으로 나오고,나름대로 정치적인 행보를 걸으면서 전체주의 사회를 새로운 평등사회로 탈바꿈시켰던 Nikopol 은 그저 호텔방에 누워 섹스나 하는 기둥서방으로 변신하고 만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것이 영화의 가장 큰 패착이 아닌가 싶다. 또 하나 지적해야 할 점은 영화 캐릭터에서 아예 3D로 만들어진 캐릭터와 실제 배우간의 눈에 거슬리는 부조화이다. 어떠한 연유에서였는지 3D 캐릭터는 눈에 띄게 둔탁하여 극의 몰입을 방해하였고 이는 작화에 있어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Enki 에게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 실수 – 또는 불가항력? – 로 보였기 때문이다. 마지막 패착은 – 이 또한 불가항력이겠지만 – 관객들에게 너무나 불친절한 내러티브이다. 제5원소와 비슷한 분위기이면서도 – 물론 이 영화에도 Enki 가 많은 도움을 줬다지만 – 제5원소의 나름의 신화적인 분위기에서도 단순한 내러티브가 주는 상업적 고려를 이 영화에서는 눈을 씻고 찾아볼 수 없다. 그렀더라면 골수팬들일 유럽 관객을 타깃으로 했어야 할 터인데 앞서 말했듯이 배경도 뉴욕으로 옮기고 언어도 영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마디로 좌충우돌이다. 뭐 이렇게 된 이상 또 누군가가 나서서 몇 년 후에 저주받은 걸작으로 레벨업 시켜줄지 모르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감독으로서의 Enki 의 역량은 아직 만화가로서의 Enki 의 그것에 비해 떨어짐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 같다.

Slaughterhouse-Five

Original movie poster for the film Slaughterhouse-Five.jpg
Original movie poster for the film Slaughterhouse-Five”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City on Fire. Licensed under Wikipedia.

Kurt Vonnegut Jr.가 썼다는 원작에 대한 사전정보도 없이 영화 첫 장면을 보는 순간 ‘뮤직박스’유의 2차 세계대전에 대한 과거와 이를 반추하는 현재가 교차되는 스타일의 영화이겠거니 생각했다. 처음 얼마간은 이러한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약간 어리바리한 주인공 Billy Pilgrim 의 과거의 공간은 전쟁터 한가운데의 참호 속이었고 현재의 공간은 그러한 자신의 삶에 대한 회고록을 쓰고 있는 그의 집이었다. 그런데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과거와 현재의 교차편집이 단순히 ‘Lone Star’에서 볼 수 있었던 솜씨 좋은 연출의 문제가 아님을 느끼게 되었다. 주인공 Billy 는 과거를 회상하는 게 아니라 실은 과거와 현재를 수시로 시간여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재밌는 발상을 시작으로 영화는 종반으로 갈수록 트랠파마도어라는 황당한 행성의 등장 등 처음의 전쟁영화 장르에서 블랙코미디, SF 까지 잡탕으로 섞인 다양한 장르적 실험이 되어버린다. 이것은 이미 솜씨 좋은 원작이 지니고 있었을 멋진 개성이 ‘스팅’이나 ‘내일을 향해 쏘아라’, 그리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헨리오리엔트의 세계’를 감독했던 거장 조지로이힐의 뛰어난 연출력과 만나면서 빚어낸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영화의 메시지는 독일의 아름다운 도시 드레스덴에 전쟁포로로 머물렀던 Billy 의 경험을 통해 전쟁에서의 살육에는 어떠한 명분도 있을 수 없다는 반전(反戰)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영화제목 제5도살장(Slaughterhouse Five)은 주인공이 일했던 도살장이기도 하지만 1945년 2월 13일 연합군으로부터 융단폭격을 받고난 후의 드레스덴의 처참한 몰골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거니와 Five 라는 단어는 마치 우주선의 이름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Billy 가 나중에 찾아가게 되는 – 또는 되었다고 주장되어지는 – 트래팔마도어의 달표면과 같은 거친 표면은 또 바로 폭격 직후의 이 드레스덴을 연상시킨다. 그 황량한 별에서의 Billy 의 새로운 사랑은 절망 속에서의 희망이라는 여운을 남겨준다. 굴렌굴드의 서정적인 피아노 연주를 배경으로 눈길을 걸어가던 Billy 의 모습을 담은 첫 장면이 오랜 여운을 남기며, Catch 22 나 M.A.S.H 같은 영화와 잘 어울리는 삼총사가 될 것 같은 느낌의 영화였다.

다른 영화평

서평

War Of Worlds

Steven Spielberg가 2005년 감독한 이 영화는 H.G. Wells 의 동명의 소름끼치는 공상과학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나 스토리는 사뭇 다르다. 당연히 원작에 충실했던 Byron Haskin 감독의 1953년 작과도 내용을 달리 하고 있다. 전편이 등장인물 들 사이의 인간관계보다는 우주생물체의 습격의 스펙터클함에 주력하는 반면, 이 작품은 무책임한 노동자 남편 Ray Ferrier(Tom Cruise)가 그의 아들딸을 우주괴물들로부터 보호하는 과정에서 복원되는 가족애를 중심축에 두고 있다. 물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펙터클 역시 전편보다 훨씬 뛰어나다. 사실 원작의 내용을 보자면 거의 무기력에 가까운 군대의 화력으로는 애당초 우주괴물을 상대할 수 없었기에, 그래서 결말이 다소 어이없을 수밖에 없기에 이 단점을 극복할 필요는 있었다. 따라서 리메이크 작품은 뭔가 관객의 시선을 잡아당길 수 있는 스토리를 삽입하였고 이전 작품에서 가족을 중심축으로 두곤 했던 스필버그로서는 당연한 선택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함에 결국 이 영화는 딸(Dakota Fanning)을 위해 헌신하는 아버지에 관한 가족영화라 할 수 있다. 부제로 “Saving Dakota Fanning”을 달아도 어색하지 않다. 

어쨌든 “우주괴물의 습격”이라는 소재는 오손 웰즈도 탐낼 만큼 픽션에서 언제 써먹어도 질리지 않는 소재이다. 당초 스필버그는 수년에 걸쳐 이 소재를 영화화할 계획이었으나 90년대 말 Independence Day, Armageddon 등 이른바 이런 유의 영화제작이 붐이어서 이 시기를 피해 2005년 제작하였다고 한다. 흥행을 염두에 두었을 포석이지만 어쨌든 작품성으로만 놓고 보자면 앞서의 두 영화보다는 이 영화의 작품성이 우수함은 분명하다. 약간은 질리기도 하지만 “가족”이라는 미국인들이 좋아하는 주제를 바탕에 깔고 있고 스토리 전개 역시 앞서의 영화보다 훨씬 자연스럽다. 다만 편집증적 인물 Ogilvy(Tim Robbins)의 등장은 다소 억지스럽다. 

곁가지로 이야기하자면 헐리웃이 이런 유의 스펙터클 영화를 제작할 때에는 거의 예외 없이 펜타곤에 협조를 요청한다고 한다. 2차 대전을 계기로 본격화된 이러한 공생관계는 군의 협조를 통한 제작비 절감을 노리는 헐리웃과 프로파간다로 영화를 활용하고자 하는 군 당국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선에서 타협이 이루어지곤 했다. 역시 Tom Cruise 가 주연을 맡았던 Top Gun에서 톡톡히 재미를 본 공생관계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앞서 언급한 두 영화 Independence Day, Armageddon 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러나 펜타곤은 Independence Day에서 군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이유를 들어 제작협조를 거절했고 아부로 점철된 협조공문을 보낸 Armageddon 은 군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다는 당국의 자체판단에 의해 전폭적인 협조를 받았다 한다. 

그렇다면 이 영화 War Of Worlds 는 펜타곤의 협조를 받았을까?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그렇지 못했을 것이다. 군인의 활약상이 Independence Day 보다 더 형편없기 때문이다. 기껏 보호막이 제거된 우주괴물에 박격포 몇 발 날려 쓰러트린 것이 전적의 전부인데 군이 협조했을리 만무했을 것이다. 물론 우주인들도 자신들을 “악의 세력”으로 그렸으니 협조했을 리 만무하다. 결국 스필버그나 되니까 누구의 협조도 없이 이런 거창한 영화를 만들 수 있었으리라.

Cocoon

이 영화에 따르면 전설의 대륙 아틀란티스는 실존했던 대륙이었고 외계인들의 지구 전진기지였다. 영원한 삶을 영위하는 이 신비로운 외계인들이 어느 날 지구에 남겨진 그들의 외계인 동료(정확하게 말하자면 커다란 고치[cocoon]속에 잠들어 있는 외계생물체들)를 데려가기 위해 지구로 왔다. 그들은 배를 빌려 알을 건져내는 한편 그 알들을 임시로 얻은 저택의 수영장에 보관한다. 그런데 그 수영장은 이웃 양로원의 장난기심한 노인들의 놀이터였다. 이들 노인들은 새 주인에 아랑곳하지 않고 수영을 즐기는데 갑자기 원기가 왕성해지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그들의 삶은 젊은이들의 삶에 못지않은 활기찬 삶으로 변신하게 된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영생의 꿈이 실현된다는 설정의 독특한 소재의 SF 영화이다. Don Ameche, Wilford Brimley, Jessica Tandy(히치콕의 The Birds 의 히로인) 등 연로하신 과거의 스타들이 역동적인 연기를 선보이느라 꽤나 고생하셨을 것이 눈에 선한 이 작품은 이 덕분인지 그 해 아카데미에서 Don Ameche 에게 남우조연상을, 특수효과 제작팀에게는 특수효과상을 선사했다. 반면에 빼어난 미모를 자랑하는 외계인 역의 Tahnee Welch(라퀄웰치의 딸)은 안 따라주는 연기 탓에 이 작품 이외에 이렇다 할 대표작이 없는 형편없는 연기경력을 쌓게 된다. 후속편은 전편만큼의 호평을 받지는 못했다.

Phantasm

사실 공포영화는 모순되게도 보수적인 영화장르다. 스크림에서 웨스크레이븐이 친절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공포영화에는 몇몇 암묵적으로 정해진 공식이 있는데 많은 부분 사회가 용인하지 못하는 부도덕함에 대한 징벌적인 성격이 강하다. 물론 도덕적인 징벌이 뭐 나쁘냐고 할 사람도 있겠지만 (영미권 스타일의 추리소설이나 추리영화의 보수성만큼은 아니더라도) 주로 기존체제의 부르주아 도덕률을 답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떻게 보자면 공포영화에서 일상적으로 등장하는 폭력묘사에 대한 도덕적 인과관계의 서술을 통해 관객이 극에 몰입하게 하는 동시에, 폭력묘사에 대한 사회적 비난을 감수하기 위한 미봉책일수도 있다.

이 영화 Phantasm 은 그러한 공포영화의 보수성을 답습하지 않는다. 웨스크레이븐의 ‘공포의 계단’과 같이 진보적인 시각까지는 아니지만 적어도 억지스러운 인과관계를 꾸미기 위한 상황설정에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 그보다는 ‘텍사스 전기톱 살인사건’처럼 폭력 그 자체에서 즐거움을 찾는데 몰두한다. 그런데 너무 재미만 좆다보니(?) 이런 저런 잡탕소재가 섞여서 극의 몰입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악당이 오컬트 쪽으로 나가다가 갑자기 외계인으로 둔갑되는데 특별한 설명도 없어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대단히 창조적인 악당(?)이 등장하는데 한순간에 어이없이 당하기도 한다. 그런 허술함이 이 영화를 컬트로 만들었을지도 모르겠다.

Don Coscarelli 가 불과 23살의 나이에 시나리오, 감독, 프로듀서 등을 도맡아 하였다.

Cocoon 2 : The Return

1편을 보지 못하고 2편부터 봐버렸다. 덕분에 처음에 극의 흐름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난독증 증세를 보이며 작품을 감상해야 했던 어려움이……. 1편은 대충 어느 날 나타난 외계인들이 노인들의 원기를 회복시켜주어 제2의 청춘을 살게 되고 결국 그들과 함께 영원히 늙지 않는 행성을 날아간다는 다소 특이한 소재의 에스에프 영화였다. 2편에서는 이런 그들이 지구에 남겨놓은 코쿤(외계생명이 자라나는 큰 알)이 위기에 처해있음을 알게 되고 다시 되돌아와 코쿤을 회수해나간다는 스토리다. 이 큰 줄기를 둘러싸고 가족의 재회, 지구로 돌아옴으로써 재발하는 노인들의 병, 지구에 남았던 다른 친구의 과거에 대한 완고함 등 노인들과 가족들 사이에서 생기기 마련인 인생사의 고민 등이 에피소드로 펼쳐진다. 전편의 후한 점수에 비해 이 작품은 좋은 점수를 받진 못했지만 노인들의 삶에 대한 노련함과 완고함, 죽음에 대한 여전한 두려움 등 세세한 감정들이 묘사되어 있어 드라마적 기반은 탄탄한 편이다. 연구원으로 등장하는 The Friends 의 히로인 Courteney Cox 의 젊은 시절도 감상할 수 있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