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The Evil Dead

Evil dead ver1.jpg
Evil dead ver1” by Movie Goods. Licensed under Wikipedia.

스파이더맨 시리즈로 거물감독이 되어버린 샘레이미의 1983년 데뷔작. 개연성 없고 식상한 시나리오이지만 그 식상한 소재를 풀어내는 이야기 솜씨가 뛰어난 작품. 재기발랄한 카메라웍, 장꼭또의 영화에서 따왔음직한 특수효과를 비롯한 여러 뛰어난 이미지의 결합, 특히 피로 물들어가는 영사기 화면과 전구 장면 등은 감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들이다. 그러나 엑소시스트를 흉내낸 그 어설픈 좀비들은 어쩔 수 없는 팝콘무비의 한계이리라. 여하튼 나름 상업적 성공도 거두어서 살아남은 주인공 브루스캠벨을 활용하여 3편까지 시리즈를 이어갔다.

Not Of This Earth

Roger Corman 감독의 1957년 작을 원작으로 한 SF 영화. 몇몇 상황설정을 제외하고는 – 그리고 여성들이 보다 성적으로 개방적이고 나체를 많이 보여준다는 점 등 – 오리지널과 다르지 않은 스토리로 진행된다. 특기할 점은 포르노스타로 이름을 날리던 Traci Lords 가 간호원 역으로 출연한다는 점이다. 그녀는 이 후 Johnny Depp 이 출연한 컬트 무비 Cry Baby 에 출연하는 등 나름대로 진지한 연기활동을 펼쳐나간다. 배우들의 연기는 한층 어색해져서 보는 사람들이 민망할 정도이다. 다만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특수효과는 진일보하였다. 개봉 당시 미국내 극장 수입은 8만 달러에 불과했다 한다. 포스터에서 보이는 저 괴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Not Of This Earth

훗날 평론가들이 50년대 외계인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 공산주의 진영과의 냉전에 대한 두려움, 흡혈귀 전설의 현대적 해석 등 다양한 은유를 집어냈지만 그 상징이야 어찌되었든 하나의 서브장르로써의 외계인을 소재로 한 공상과학 영화는 아무 생각 없이 주말저녁 다운타운의 극장가에 가서 즐기기 딱 좋은 장르였다. 그리고 저예산 영화제작의 산 증인 Roger Corman 은 누구보다도 이러한 점을 잘 꿰뚫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957년에 제작된 Not Of This Earth 는 저예산 SF 무비의 전형으로 남을 만하다. 물론 메이저스튜디오에서 제작된 영화에 비해서는 어이없을 정도로 우스운 광경도 연출된다. 배우들의 연기는 어색하기 짝이 없고 조명은 쓰지도 않은 것인지 수시로 배우들의 얼굴은 암흑에 가려진다. 영화 후반에 등장하는 어이없는 외계 괴물은 헛웃음을 짓게 할 정도다.

그럼에도 외계생명체, 피, 최면술, 텔레파시 등 대중들의 이목을 끌만한 B급 소재를 깡그리 긁어모아 만들어진 이 현대판 (외계인) 드라큘라는 그 조합이 나름 그럴듯하여 평론가들의 호의적인 평가를 얻었고 그 뒤 두어 번에 걸쳐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Ganja & Hess

Ganja-hess-movie-poster-md.jpg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https://www.cinematerial.com/movies/ganja-hess-i68619/p/rxavl0do, Fair use, Link

이 작품은 이른바 Blaxploitation Film 의 절정기에 만들어진 걸작으로 간주되고 있다. Blaxploitation 에 대해 좀 지루한 설명이 필요한데 이 단어는 ‘흑인(Black)’과 ‘착취(Exploitation)’의 합성어이다. 다만 흑인을 착취하는 필름이라는 의미는 아니고 ‘과도한 섹스씬이나 폭력씬 등으로 흥행을 노리는’ 장르라는 의미의 Exploitation Film 중에서도 흑인관객을 주로 타겟으로 삼는 영화가 바로 Blaxploitation Film 인 것이다. 이렇게 철저히 마이너적 감성으로 만들어진 터라 크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뒤늦게 퀀틴타란티노 등에 의해 재조명되기도 했다.

Hess Green 박사는 저명하고 부유한 인류학자이다. 그는 George Meda 라는 새 조수를 고용하게 된다. George 는 어느 날 술에 취한 채 Hess 를 칼로 찌르고 권총으로 자신의 목숨을 끊는다. 하지만 피를 마시는 아프리카의 멸종한 종족인 Myrthia – 이런 종족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는 모르겠다 – 의 칼에 찔린 Hess 는 오히려 불멸의 삶을 얻게 되지만 피에 굶주린 일종의 뱀파이어가 되고 만다. 이후 그 앞에 George 의 아름다운 아내 Ganja Meda 가 등장한다. 둘은 사랑에 빠져 결혼하지만 Ganja 역시 Myrthia 의 저주에 걸리고 만다.

배우이자 소설가, 극작가인 Bill Gunn 은 형편없는 예산으로 뱀파이어 영화를 만들어야만 했고 그는 뻔한 뱀파이어 영화대신 아프리칸-아메리칸 문화의 메타포가 예리하게 새겨진 이 초현실주의적인 영화를 만들어냈다. 당초 길이에서 뭉텅이로 잘려나가 83분이라는 짧은 러닝타임이라서 그런지 극의 진행은 가끔씩 빠르다 못해 어이없는 전개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런 결점은 비전형적이면서도 재기 넘치는 에피소드를 통해 상쇄되고 있다. 이보다 더 엄청난 비용을 들이면서도 사람을 어이없게 만드는 영화가 얼마나 많은가!

상징이나 메타포 – 이 영화에서 피는 곧 아프리칸-아메리칸의 뿌리, 즉 아프리카로의 회귀를 의미한다(고들 한다) – 에 대해서 한마디 하자면 결국 그런 것들은 우선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고나서야 찾을 것들이다. 이야기가 없는 영화들이 관객들을 혼란시키는 상징과 메타포로 떡칠을 하고 아트 필름으로 둔갑하는 경우도 많음을 부인할 수 없다. 반면 이 영화의 미덕은 장르 영화의 교묘한 비틀기로 우선 이야기 면에서 관객을 사로잡고 있다. 상징이나 메타포는 그 후 비평가의 몫일 것이다. 우리는 이런 재기 넘치는 유사한 작품을 한참 후에 남미의 ‘엘마리아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무튼 이 영화는 온갖 난도질에다가 제목마저 Double Possession, Blood Couple, Black Vampire 등 질 낮은 수준으로 교체되어 개봉되곤 하였다고 하니 보통 고생한 작품이 아니다.

Carrie

소름끼치는 틴에이저 공포물 Carrie 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펄프픽션의 대가 Stephen King 의 원작을 바탕으로 Brian De Palma 가 만든 작품이다. 펄프픽션의 대가와 B급 영화의 귀재가 만났으니 그 결과물은 당연히 기대를 충족시켜줄만한 양질의 공포영화로 귀결되었다. 거기에 Sissy Spacek 의 소름끼치는 연기는 영화의 시너지를 극대화시켰다.

Stephen King 의 자전적 에세이 <유혹하는 글쓰기>에 보면 이 원작의 탄생비화가 소개되고 있다. 애초 King 자신이 너무 진부한 소재라 생각하여 쓰레기통으로 처넣은 스크립트를 아내가 꺼내어보고 좋은 소재라며 격려해주었고 이에 분발하여 장편으로 완성한 것이었다. 또한 캐리의 캐릭터를 구상하는데 도움(?)을 준 이들이 소개되는데 King 은 그의 고교시절 왕따를 당했던 두 소녀를 모델로 하였다고 한다.

사실 개인적으로 다른 공포영화와 마찬가지로 King 역시 희대의 살인자 Ed Gein 을 모델로 하지 않았는가 생각했었다. Ed Gein 은 어릴 적부터 광신적인 기독교도였던 어머니의 틀 안에서 비정상적으로 살아오다 가족들이 모두 죽은 후 여자시체의 살갗으로 옷을 해 입으며 여성이 되고자 했던 그야말로 초엽기적인 인물이었다. 그 인생이 너무나 드라마틱하기에 그의 인생의 파편들이 각각 텍사스전기톱살인사건, 싸이코, 양들의 침묵 등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Carrie 를 보면 Ed Gein 의 경우와 상당히 일치하는 가정환경임을 알 수 있다. Carrie 의 어머니 역시 Ed Gein 의 어머니가 그러했을 것처럼 딸에게 극단적으로 섹스에 대한 혐오감을 강요한다. 이는 결국 Carrie 가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는데 걸림돌 으로 작용하고 왕따의 빌미를 제공하였다. 극단이 또 하나의 극단을 낳게 만든 꼴이 되고 만 것이다. King 에 따르면 그가 모델로 삼았던 바로 그 동급생의 어머니에게서 그러한 종교적 보수성을 느꼈다고 하니 Ed 의 어머니가 극단적이었을 따름으로 상상외로 이러한 꼴통적인 가정환경이 극히 드문 현상은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감탄할만한 점은 초경의 공포과 돼지 피라는 어쩌면 어울리지 않는 두 소재가 ‘빨간 색’이라는 시각적 이미지를 교집합으로 형성하면서 관객들에게 ‘끔찍했던 학창시절’을 상기시키는 극대화된 공포를 경험하게 만드는 연출솜씨이다. Amy Irving, William Katt 등 조연들의 연기도 뛰어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