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1], Fair use, Link
버나드 썸너(Bernard Sumner)와 자니 마(Johnny Marr)의 프로젝트 일렉트로닉이 1996년 내놓은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밴드 이름이 표방한 대로 일렉트로닉한 분위기, 자니 마의 강렬한 기타 사운드, 썸너의 청량한 보컬 등이 90년대 얼터너티브락의 바이브와 자연스럽게 결합하며 듣기에 즐거운 작품이다. 전반적인 분위기는 –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지만 – 1993년 New Order가 내놓은 Republic의 분위기와 흡사하다.
13개 트랙 중 7개는 썸너와 마가 만들었고, 나머지 6개는 Kraftwerk의 전 멤버인 칼 바르토스(Karl Bartos)와 공동으로 작업했다. 칼을 추천한 이는 베를린에서 레코드 레이블을 운영하고 있던 마와 썸너의 친구 마크 리더(Mark Reeder)였다. 둘은 마크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뒤셀도르프에서 그를 만나기로 했다. 그들은 칼이 일렉트로닉 뮤직의 선구자였기 때문에 기대가 컸고, 칼은 최신의 기술을 알고 싶어했다.
처음에 둘은 칼을 만나기 전에 그와 당시의 최신 기술인 모뎀 라인을 통해 파일을 주고받는 식으로 작업하는 장면을 상상했다고 한다. 그래서 칼과 카페에 만나서 아이스크림을 먹으면서 어떻게 레코딩을 할지 물었을 때 그들은 놀랐다고 한다. 칼이 “간단하지. 우리는 악기를 가지고 잼을 하는 거야.”라고 대답했기 때문이다. 칼은 그들에게 스튜디오를 보여주고 클래프트베르크가 어떻게 작업했는지 시연했다고 한다.
셋이 의기투합한 이후1 칼은 자니 마의 집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리고 집에 마련한 스튜디오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같이 작업하면서 마는 칼로부터 독일의 작곡가나 철학자 등 독일 역사에 대해 알게 됐다고 한다. 그들은 클럽에 가서 당시의 음악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칼은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음악을 만들었다. 스미쓰 멤버의 집에서 클래프트베르크 멤버가 속옷 차림으로 부엌을 오가는 그런 삶이었다.2
하지만, 이 앨범 작업 당시 그들의 삶은 모든 것이 낭만적이지는 않았다. 버나드는 토니 윌슨(Tony Wilson)이 벌려놓은 하시엔다(The Haçienda)에서 벌어진 갱단의 폭력 이슈를 해결하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었고 종종 미팅에 불참해야 했다. 자니 마 역시 스미쓰와 관련한 여러 회의에 끌려다녀야 했다. 결국 그 문제는 법정으로 가게 된다.3 여러모로 쉽지 않은 작업 환경에서 탄생한 앨범인 셈이다.4
개인적으로 가장 캐치하다고 생각하는 트랙은 첫 번째 트랙 Forbidden City고5 일렉트로닉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꿀맛은 세 번째 트랙 Dark Angel이다. 한편 강렬한 락비트의 일렉트로닉 넘버 Until the End of Time는 네 가지 다른 버전으로 일렉트로닉의 메일링리스트(mailing list)에 공개됐다고 한다. 메일링리스트라니 90년대스럽다. 영국 앨범 차트 8위에까지 올랐고 미국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는 143위까지 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