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 Life

Sade - Diamond Life.png
By iTunes Store US, Fair use, Link

소피스티팝(sophisti-pop)이라는 멋진 장르가 막 꽃을 피우던 1984년 탄생한 앨범이다. 1980년대 초중반 뉴웨이브 시대에서 발전한 팝 음악 하위 장르인 소피스티 팝은 째즈와 쏘울의 요소를 섞은 캐치한 멜로디의 팝사운드, 차분한 연주, 다소 건조한 듯한 보컬 등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그러한 면에서 이 앨범은 음악, 가수의 외모, 앨범 커버 등등 모든 것이 이른바 ‘세련미 넘치는 부드러운 소피스티 팝’을 지향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소피스티 팝의 원형은 Roxy Music으로 거론되기 때문에1 이 장르의 발전은 예의 영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1984년 즈음에는 차차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 등지에서 멋진 소피스티팝 앨범이 생산되던 시기였다. 기억하기로 그 해에 The Blue Nile의 A Walk Across the RooftopsJoe Jackson의 Body and Soul 등이 발매되었고, 그다음 해인 1985년에 Double의 Blue나 Prefab Sprout의 Steve McQueen 등 그 장르의 명반들이 탄생했다.

그러나 그때까지도 아직은 샤데와 같이 여성 보컬을 전면으로 내세운 소피스티팝은 그리 많지 않았는데, 이후 반갑게도 Basia, Swing Out Sister, Everything but the Girl 등 여성 보컬을 무기로 하는 멋진 뮤지션들이 많이 등장했다. 그럼에도 샤데는 그 두텁고 독특한 음색으로 말미암아 그중에서도 독자적인 위치를 점하였는데, 이 앨범에서는 이미 그런 특색이 잘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소피스티 팝은 1980년대 후반 절정을 이루게 된다.

런던의 파워플랜트 스튜디오에서 6주 동안 녹음하여 완성한 이 앨범은 다소 발랄한 신디싸이저 연주보다는 차분한 색소폰과 키보드 연주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주가 다소 허스키한 샤데의 보컬과 환상적인 케미를 이루어 독특한 중량감이 느껴지는 작품이다. 가장 매력적인 트랙은 누가 뭐래도 Smooth Operator고 이후의 트랙들은 그 곡에서 반보 혹은 한보 정도의 차이를 두고 저만의 매력을 뽐내고 있다.

  1. 1982년 Avalon이 최초의 소피스티 팝 앨범으로 종종 언급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use these HTML tags and attribute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