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1], Fair use, Link
Brian Eno 할아버지가 신보를 내셨다. 워낙에 다작이신 분인지라 디스코그래피를 쭉 훑어보려는 시도는 이제 일종의 만용이 된 듯한데 어쨌든 올해 6월 6일에 나온 따끈한 신보라서 들어봤다. 이노는 Beatie Wolfe라는 컨셉트 아티스트와의 협업으로 Luminal과 Lateral을 내놓았다. 첫 번째 작품은 아직 안 들어봤고, Lateral만 오늘 들었다. 곡은 사실상 Big Empty Country라는 곡 단 한 곡. 바이닐에서는 앞면과 뒷면을 Day 버전과 Night 버전으로 나눠놓긴 했다. 말 그대로 그냥 단순한 멜로디가 64분 동안 약간의 변주와 함께 반복된다. 마크 로스코나 또는 더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작가 전시회의 배경음악으로 깔면 딱 어울릴 작품. 비평가들의 평가는 매우 좋다. Luminal까지 들어봐야 그들의 속내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1], Fair use, Link
앞 문단은 어제 쓴 글이고 오늘은 출근길에 같이 발매한 – 올해 6월 6일 동시 발매했으니, 사실상의 더블앨범? – Luminal을 감상했다. 1시간이 넘게 단순한 멜로디를 반복하는 Lateral과 달리 이 작품은 보다 대중 친화적이다. 즉, 멜로디가 각각의 트랙마다 다른 3~4분 길이의 드림팝 장르의 앨범이다. “앨범은 다양한 문화권의 언어에서 유래한 감정 단어들을 모티브로 삼아 구성되었다“라고 하는데 일단은 가사를 주의 깊게 살펴보지는 않아서 모르겠고 보다 마음 편한 ‘공중에 부유하는 듯한’ 음색과 연주가 특징적인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앨범을 먼저 듣느냐에 따라 두 작품이 주는 감정이 조금은 다를 듯한데, 이노와 비티도 그런 점을 의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비평가들의 평가는 아주 호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