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nuordr

A Walk Across the Rooftops

TBN-WalkAcross.jpg
By The cover art can be obtained from Linn Records., Fair use, Link

A Walk Across the Rooftops는 스코틀랜드의 락밴드 The Blue Nile의 데뷔앨범이다. 이 앨범은 1984년 4월 30일 영국의 린(Linn) 레코드사와 미국의 A&M 레코드사를 통해 발매됐다. 애초 이들의 데뷔 싱글은 “I Love This Life”로 1981년 발매되었다. 밴드는 주로 글래스고에서 연주를 하거나 데모 레코딩을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그러던 중 린 레코드사와 일한 적이 있는 Calum Malcolm와 함께 작업한 “Tinseltown in the Rain”을 회사에서 듣게 되었고 이것이 앨범 계약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밴드는 1983년에 5개월에 걸쳐 에딘버러 동쪽에 위치한 캐슬사운드(Castlesound) 스튜디오에서 앨범을 녹음했다. 이 앨범이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에는 영국 앨범차트 80위까지 오르기는 했지만 큰 호응이 없었으나 이후 입소문이 나면서 서서히 명성을 얻게 되었고 열광적인 팬덤이 형성되기도 했다. Stay와 Tinseltown in the Rain은 싱글로 발매되어 각각 영국 싱글차트 97위와 87위에까지 올랐다.

개인적으로도 좋아하는 노래는 두 번째 트랙 Tinseltown in the Rain이다. 이 노래의 이 후렴구는 캐치하면서도 단순명료한 가사가 인상적이다.

Do I love you? Yes, I love you
Will we always be happy go lucky?

한편 Heatwave 라는 곡에서는 이런 가사가 등장하는데 마치 지금의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적 위기를 예언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흥미롭기도 하다.

Heatwave, heatwave
Are we rich or are we poor?
Does it matter anymore?

이렇듯 앨범의 다른 수록곡들도 단순하면서도 도시의 이런저런 풍경을 묘사하는 선명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어 그들의 다소 난해한 코드 진행의 멜로디에 담백함을 가미해줘서 좋은 조합을 이루고 있다.

Punch the Clock

A picture of a man with a hat and glasses touching his left ear, surrounded by a red border
By The cover art can be obtained from F-Beat Records / Columbia Records / Rykodisc / Rhino Records., Fair use, Link

Punch the Clock은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엘비스코스텔로가 1983년 8월 출시한 그의 여덟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 제목 Punch the Clock은 직장에서 정해진 시간에 출근하거나 퇴근하며 타임카드를 찍는다는 의미의 관용적 표현으로, 앨범의 세 번째 트랙 The Greatest Thing에서 가사로 등장하는 문구다.

“Punch the clock and in time you’ll get pulled apart”

장르적으로는 이전의 앨범들인 Armed Forces (1979)나 Get Happy!! (1980)에서 선보였던 단선적인 뉴웨이브에 R&B와 Soul등 – 예를 들면 앨범의 프로듀서이기도 한 Clive Langer와 함께 작곡하여 Chet Baker의 솔로 트럼펫 연주가 가미된 Shipbuilding과 같은 곡들 – 다양한 장르를 섞는 등 음악적으로 보다 풍부한 표현력을 선보이고 있다. 두 번째 트랙 Everyday I Write the Book은 그의 노래 중에서 처음으로 미국 차트 40위 안에 랭크되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곡은 박력 있고 단선적인 뉴웨이브 사운드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 TKO (Boxing Day)다. 이 곡에서는 관악기 연주들이 매력적인데 연주자들이 Dexys Midnight Runners와 함께 작업했다고 하고 과연 그들의 노래가 연상되기도 한다.

음악적으로도 높은 성취를 이룬 앨범이고 가사 적으로도 여러 곡에서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냉소적 시각이 녹아들었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기도 했다. 예를 들어 어떤 비평가는 인간성이 “경제적 계약 관계로 줄어들었다(reduced to an economic transaction)”와 같은 가사는 80년대 당시 영미의 대처리즘이나 레이거노믹스를 비판하는 가사라고 여기기도 했다. Pills And Soap에서는 “You think your country needs you but you know it never will”라는 다소 무정부주의적이기까지 한 모습이 엿보이기도 한다.

Johnston, Sophie And Peter

Sophie and Peter Johnston은 뉴캐슬 출신의 신쓰팝 듀오로 오누이 지간이다. 그들은 1980년대에 BBC라디오1의 디스크자키였던 John Peel의 눈에 띄어 영국의 텔레비전 시리즈 TX45의 주제음악을 연주하였다. 1983년 “Television Satellite”이라는 곡이 Peel의 Festive Fifty1에 37번째 곡에 선정되었다. 그들의 유일한 차트 히트곡은 “Happy Together”로 1986년 영국 싱글 차트 99위에 올랐다.

Albums
Sophie and Peter Johnston (1986)
Singles
“Losing You” (1985)
“Happy Together” (1986) – UK No. 99
“Television Satellite” (1987)
“Torn Open” (1987)
Links
인터뷰

  1. Fiftive Fifty는 원래 연말에 편집되어 John Peel의 BBC 라디오 1 쇼 청취자들에 의해 투표된 올해의 베스트 50곡의 연례 목록이었다. Peel이 연주하는 음악의 다양성이 아니라 청취자들 사이의 다수의견을 완전히 대변하는 인디와 록 노래가 지배적이었다.

토킹헤즈의 ‘Once in a Lifetime’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일까?

Talking Heads c. 1980; left to right: David Byrne, Jerry Harrison, Tina Weymouth, Chris Frantz
By Distributed by Sire Records. Photographer uncredited. – , Archive , eBay listing two, , Public Domain, Link

토킹헤즈의 1981년 작 ‘Once in a Lifetime’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곡 중 하나라는 사실은 과장이 아니다. 곡의 발표후 40년 이상 Remain in Light의 이 리드싱글은 그 첫 발매이후 사랑받고 적절한 곡으로 기억되고 있다. – 그러나 그 가사는 어떠한 내용일까?

곡을 쓴 데이빗번에 따르면 이 곡은 무의식에 관한 노래다. “알다시피 우리는 비몽사몽간이나 자동 조종장치 위에서 움직이고 어쨌든 집 한 채, 가족, 직업, 그리고 그 외의 것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계속 우리에게 자문합니다 ‘어떡하다 내가 여기에 있지?’” NPR에게 프론트맨이 한 말이다.

번은 곡의 첫 소절에서 일상생활에서의 자동 조종장치 루틴에 대해 요약한다. 1절에서의 각각의 가사는 다음과 같은 구절로 문을 연다. “그리고 넌 너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And you may find yourself.)” 곡의 전체적인 메시지를 증류한 것 같은 다섯 단어다. 곧바로 번은 우리가 우리의 삶을 통제하고 있다고 가장된 인지에 초점을 맞춘다. – 너는 능동적으로 멋진 저택이나 아름다운 아내를 추구한 것이 아니다. 넌 단지 그것들을 가진 너 자신을 발견한 것이다.

1절에서의 이 구절의 반복은 우리 대부분이 맹목적으로 받아들이고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거의 관조하지 않는 단조로움을 반영한다. 다만 이는 파멸이나 의기소침을 의미하지 않는다. 번의 읊조림은 우리가 주변을 바라보도록 상기시켜 우리가 우연히도 얻게 되었을 성취와 아름다음을 찬양하고 스스로에게 자문하게 한다. “어떡하다 내가 여기에 있지?(How did I get here?)”

그가 우리를 계속해서 두 번째 인물로 안내하는 동안, 이 프론트맨의 무게감 있는 가사나 단호한 보컬은 번에 의해 의도적으로 스타일리스틱하게 선택한 어느 목사의 환영을 묘사한다. 코러스에 대한 브라이언 이노의 멜로디에 관해 말하자면, 그는 Uncut에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는 마치 설교자와 그의 신도들의 대화처럼 부름-응답(call-and-response) 패턴으로 작용했어요. 나는 마치 설교를 하는 것처럼 가사를 발전시켜나갔지요.”

싱어는 또한 라디오에서의 선교사들이 반복하는 구절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이를 통해 초월성이 반복되는 느낌을 주었다. 물을 기반으로 하는 표상 역시 노래 내내 현존하였는데, 인생과 시간의 멈출 수 없는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물을 제거하라, 물을 나르라.(Remove the water, carry the water)” 번은 우리를 격려한다.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프론트맨의 도움으로 거의 가능한 것처럼 여겨진다.

노래 내내 이어지는 무의식적인 일상에 대한 반복되는 상기 속에서 – “나날들을 보내면서(Letting the days go by)”라는 반복되는 후렴구에서, 그리고 상징적인 “늘 똑같아요(Same as it ever was)”에서 – 번은 우리에게 뚫고 나가라고 간청한다. ‘Once in a Lifetime’은 단순히 염세적인 노래가 아니라 활기찬 노래다. 모든 것이 늘 똑같다는 것은 번의 보다 긍정적인 선언과 즐거운 연주와 대조를 이룬다.

“시간은 멈춰있지 않아요. 시간은 우리를 뒤따르지 않아요.(Time isn’t holding up, time isn’t after us)” 그는 우리에게 확신시킨다. 그리고 그를 불신하기 쉽지 않다. “데이빗의 가사들이 환상적인 점은 그가 선교사의 열정에 찬 어조를 사용한다는 점이에요.” 이노가 Uncut에서 설명한다. “우리가 얼마나 환상적인 곳에서 살고 있는지 이야기하고 있어요. 함께 찬양합시다. 그건 모두가 절망하고 우울해하고 있을 때 할 수 있는 급진적인 행위에요!”

우리가 번을 믿어야 한다면, 우리가 아무 생각없이 사회적 기대를 만족시키고 우리의 성취가 우리를 스쳐지나가게 놔두는 동안 그 나날들이 흘러가게 놔두는 것은 유일한 선택이 아니다. 번이 제목의 단어인 “일생에 단 한번(Once in a lifetime)” 전달하면서 이 지점은 마침내 곡의 마지막 장면에서 집에 도달한다. 이는 삶의 덧없는 본질을 날카롭게 상기시킨다. 적어도 우리는 번에게 우리의 무의식적인 활동을 깨고 인생을 보다 자주 찬양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빚을 진 셈이다.

원문읽기

토킹헤즈가 그 집을 태워버렸다. 서로 각자가 아니라

이 팬의 이름은 스파이크리다.

“역사상 최고의 콘서트 필름입니다!” 토론토 인터내셔널페스티벌에서 토킹헤즈의 새롭게 리마스터된 콘서트 다큐멘터리 스탑메이킹센스의 시사회에서 이 베테랑 감독이 선언했다. 리는 그룹이 이십여년만에 처음으로 대중에 전체 밴드의 모습으로 나타난 영상회와 질의응답 시간의 사회를 맡아줄 것을 요청받았다.

몇년 동안 팬들은 멤버인 데이빗번, 티나웨이마우스, 크리스프란츠, 제리해리슨에게 재결성해줄 것을 애걸해왔다. 그러나 월요일의 이벤트는 이 락커들이 서로 한 방에 모일 수는 있기나 한 것인지에 대한 테스트였을 것이다. 번과의 마지막 만남이 “20여년 전”이었다는 프란츠는 그가 2020년 내놓은 생동감있는 회고록 리메인인러브에서 회고하길 번은 그룹의 공동작업에 대해 반복적으로 단독의 작곡인 것으로 간주했었고, 1991년 모두를 놀라게 하는 밴드의 해산을 주도했다. 그리고 나머지의 바람과 반해서 EMI의 카탈로그에 완전한 소유권에 서명해버렸다. 한편 웨이마우스는 이전에 번을 “트럼프주의자”이자 “거래적”이라고 묘사했다.

그러나 TIFF에서 잠복해있던 드라마는 재빨리 잠재워졌다. 리의 사회 하에 상영 후의 인터뷰는 최대한 밝고 공손했다. “역사상 최고의 콘서트 필름입니다!” 그는 다시 선언해서 그룹이 그들의 음악과 영상의 유산을 축하며 미소짓게 만들었다.

“토킹헤즈는 너무나 뛰어난 밴드이고 우리가 라인업을 확장했을 때… 우리는 다른 차원으로 옮겨갔었습니다.” 프란츠가 말했다. “자화자찬해서 미안한데 우리 밴드 멤버가 오늘밤 다시 함께 한 것이 너무 좋아요.”

CBGB의 열기 속에서 구성된 토킹헤즈는 1970년대 뉴욕에서 협조적이고 매혹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운드에 집중하는 거부할 수 없이 매력적인 라이브 연주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는 그들을 보다 전통적인 가사-코러스-가사 위주의 동료 뮤지션과 차별화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특히 피어오브뮤직(1979)에서 종합적인 텍스쳐를 락에 결합하고 차기작 리메인인라잇(1980)과 스피킹인텅스(1983)에서는 아프리카의 그루브에 영감을 받은 복합적인 리듬을 만들어내는 등 스튜디오 마술에 능숙한 솜씨를 보여주었다. 토킹헤즈는 비록 2021년이 되어서야 평생공로상으로 처음 그래미를 받기는 했지만 드물게도 비평과 흥행 모두에서 성공적이었다.

1984년 발표한 스탑메이킹센스는 그들의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라이브 공연을 소중하게 담아냈다. 이 획기적인 필름은 당신을 토킹헤즈가 스피킹인텅스 투어로 3일 밤을 연주하는 로스엔젤레스의 판타지스 극장으로 데려간다. 당시 그룹은 쇼에서 라인업을 서서히 확장하면서 보다 풍부하게 실연하는 사운드나 장엄한 연출법 등을 선보였다.

당신이 스탑메이킹센스를 처음 접했든 반복적으로 시청을 했든 (해리슨이 감리를 맡은) 리마스트된 사운드를 포함한 복각판은 당신을 즉시 그들의 연주장으로 데려간다. IMAX에서 극단적으로 친밀한 경험을 맛볼 수 있다.(“그는 너무 땀이 흥건하네요!” 번의 근접 샷에서 내 이웃 하나가 말했다.) 극장의 팬들은 “버닝다운더하우스”에 원 모양으로 회전했고 “원스인어라이프타임”에서는 리는 좌석을 차고 일어난 이들에 합류했다. “라이프디어링워타임”의 연주 동안 번의 모습에에는 다시 한번 계단에서 달리기가 시작되었다.

“지금 이걸 봤을 때 난 이게 극장에 오는 이유야!라고 생각했어요.” 나중에 번이 “내 랩탑으로 보는 것과 다르다”라고 농담하기 전에 이야기했다.

상영회 이후 리는 동기부여 감독 역을 맡았다. “모두 환영해주세요. 전세계적으로 기록을 세울 예정입니다.” 토킹헤즈 101으로서 부분적으로 발매의 역할을 인지하고 있기에 리는 타임라인과 함께 1983년 어떻게 촬영했는지에서부터 밴드와 청중이 2023년 이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에 이르기까지 질의를 진행했다. 특별히 웨이마우스의 그의 베이스 스타일에 친밀감을 보이며 리는 그에게 이 필름에서 맘에 드는 연주가 무엇인지 물었다. “이봐요 스파이크” 그가 대답했다. “그건 마치 내 아이들 중 누구를 누구를 가장 사랑하느냐고 선택하라고 강요하는 것이나 같아요.”

토킹헤즈의 발언이나 팬의 질문은 – 예를 들면 “완전 새로운 관객에게 이 상징적인 영화를 상영하니 어떤 느낌인가요?”와 같은 – 이 방안에 하나의 단어를 남겼는데 ‘사랑’이다. 리는 다시 강조했다. “사랑!” 리는 항상 같은 정서를 공유한 것만은 아닌 이들 밴드 구성원을 위한 치료의 힘이 있는 주문이라도 되는양 소리쳤다. “영원하다!” 그는 그들의 유산에 대한 확신감으로 반복했다. “풍부하고 세심한 사운드!” 그는 그룹이 기뻐할 정도로 강조하였다.

“이 필름이 힘을 유지하는 이유 중 하나로 당신은 스테이지 위에서 우리가 무척 즐기고 있다는 사실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해리슨의 말이다.

“제가 거기에 사랑이란 단어를 다시 넣어도 될까요?” 리가 물었다. “사랑! 사랑!”

“사랑과 즐거움, 그리고 청중이 ‘당신도 이 중 하나야’라고 말하고 있어요.” 해리슨이 이어나갔다. “이 영화를 볼 때마다 당시의 놀라운 감정이 다시 떠오르곤 합니다.”

토킹헤즈는 리를 좀 더 자주 만나야 하고 이는 그들에게 좋은 일일 것이다.

게일블레커가 디자인한 아이코닉한 빅수트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번은 일본에서 그의 친구와 저녁을 먹으면서 친구는 극장에서 동작과 부피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실제 삶보다 크다고 이야기했다고 회상했다.

“그리고 난 생각했는데 오~! 내 양복도 역시 커야겠구나.” 번이 말하자 폭소가 터졌다.

“오늘은 정말 컸어요.” 프란츠가 대꾸했다.

웨이마우스는 필름을 찍기전에 “모든 곡의 악보를 따고, 각 연주자가 무엇을 하는지, 누가 움직이는지를 알기 위해” 밴드와 함께 몇주간 여행했던 비주얼 컨설턴트 샌디맥레오드에게 고마움을 표했는데 “내 생각에 그게 실제 촬영에서 굉장히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밴드는 또한 팀의 노력으로 스탑메이킹센스의 감독으로 많은 신뢰를 받았던 조나단드미에게도 칭찬을 쏟아부었다.

“난 그가 이것을 일종의 합주 필름이라고 보고 있음을 깨달았어요.” 번이 고인이 된 감독에 대해 말했다. “당신은 많은 배우를 가지고 있어요. 당신은 하나하나의 캐릭터에 대해 알게 되죠. 그리고 당신은 그들이 서로 어떻게 관계하는지 바라봅니다. 나는 나많의 세상이 있다. 그러나 그는 거기에서 무엇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본 것이라고 생각했었죠.”

프란츠가 덧붙였다. “조나달은 우리를 많이 신뢰했어요. 우리가 하는 것이 영화로 만들 가치가 있고 또한 그것이 미래에 기억될 가치가 있다고 느끼게 해줬죠.”

리는 아쉽게도 밴드 멤버들이 어떻게 이제 잘 지내게 됐는 지에 대해서나 라이브를 위한 재결합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하지 않았다. 번은 다만 최근 사람들에게 그가 그룹을 끝내게 한 것에 대해 “후회”하고 있고 그것을 “꼴 사나운 해체”라고 하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했다고 한다. 토킹헤즈의 이전의 2002년 공개 석상에서 프란츠는 록앤롤 명예의 전당에게 밴드가 “행복한 끝맺음”의 기회를 준 것에 대해 감사한 바 있다. TIFF는 보다 행복한 것이 되었다.

“마술같아요.” 웨이마우스는 스탑메이킹센스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러나 이 감상은 그 밤 그 자체에게도 쉽게 적용될 것이다. “모든 것이 특별해요. 당신이 우리와 청중 사이에 대해 이야기한 그 사랑, 팀웍, 우리 동료, 영화를 찍은 동료. 모든 것이 멋집니다.”

원문보기

Depeche Mode – Memento Mori

Art of grey angel wings on a black background with the artist and album title in red and white above
By https://www.depmode.com/Depeche_Mode_Memento_Mori.php, Fair use, Link

디페쉬모드가 2023년 3월 24일 그들의 15번째 스튜디오 앨범 Memento Mori를 콜롬비아와 뮤트 등을 통해 공식 발매했다. 앨범의 프로듀서는 James Ford가 담당하였다. 공식 발매 이전에 Ghosts Again과 My Cosmos Is Mine이 싱글로 발매되었다. 그룹의 공동 창업자이자 키보드를 담당했었던 Andy Fletcher의 죽음 이후 처음으로 밤래되는 앨범이고 이 앨범을 홍보하기 위해 월드투어에 나설 예정이라고 한다. 비평적으로는 좋은 평가가 이어지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도 이번 앨범이 초중기의 디페쉬 음악으로 회귀하는 듯한 사운드여서 마음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