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로맨스

Terms of Endearment

태어나서 자라서 부모에게 반항하고 사랑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늙어가다 죽는 게 사람의 인생이다. 이 영화는 인간의 거의 예외 없는 이러한 삶을 엠마(데보라윙어)의 삶과 죽음을 통해 조명한다. 특별한 기교나 반전 없이 엠마와 그를 둘러싼 가족들의 변해가는 삶을 관찰하는 이 작품은 초반 엠마의 밝은 성격으로 말미암아 다소 가벼운 로맨틱코미디의 분위기로 흘러가다 어느 날 엠마가 우연히 병원에서 종양을 발견하며 신파조의 – 그렇다고 너무 청승맞지 않은 – 멜로물로 전환한다. 중간 중간 엠마의 엄마(셜리맥클레인)과 이웃집 남자(잭니콜슨)가 벌이는 애정싸움도 볼거리다. 엠마가 죽는 순간 이미 애정이 식어버린 남편이 잠이 들었다가 깨는 장면이 여운을 남긴다.

Dogfight(샌프란시코에서의 하룻밤, 1991)

Dogfight(개싸움)은 비행기 공중전을 가리키는 속어라고 알고 있다. 그렇다면 이 영화는 탑건류의 전쟁액션물? 아니다. 이 영화에서 개싸움은 또 하나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혈기왕성한 군인들이 가장 못생긴 파트너를 데려오는 이에게 판돈을 몰아주는 이색파티의 명칭이 그것이다. 내일이면 베트남이라는 전쟁터로 떠나는 에디 버들레스(리버 피닉스 분)가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해 친구들과 함께 개싸움 파티를 위해 뿔뿔이 흩어져 추녀들을 찾아 헤맨다. 그래서 엮은 여자가 로즈피니(릴리타일러). 결국 파티의 진실을 알게 된 로즈는 화를 내며 파티를 떠나고 에디는 그런 그녀에게 사과하러 그녀의 집을 찾아가서 마지막 밤을 함께 시내를 배회한다. 올 여름 샌프란시스코를 다녀온 터라 얼마 전의 두 번째 감상할 때에는 보다 더 시내의 풍경에 애정(?)을 가지고 봤던 작품. 이성에 대한 내면의 아름다움을 알게 된다는 결론은 만족스럽지만 전쟁에 대한 알듯말듯한 모호한 자세는 약간 삑사리. 리버피닉스여 편히 쉬소서.

네이버 영화소개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706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이 영화의 원작이 베스트셀러였다는 사실, 악마로 불린 패션잡지 편집장이 실제인물을 모델로 했다는 사실 등 이 영화에 대한 기초적인 사실을 모른 채 감상하였다. 애초에 패션 쪽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영화속잡지 이름이 제법 즐겨보았던 리얼리티쇼 ‘프로젝트 런웨이’와 같다는 점, 프라다의 창업주 이하 그 가문이 전통적으로 공산당 지지자라는 곁가지 가십거리만을 안 채 영화를 보았다.

영화 자체는 킬링타임용으로 손색이 없었다. 악마와 순진한 소녀라는 설정은 고전동화에서 익숙한 설정이었고 워커홀릭과 그 배우자와의 갈등은 젠더가 전도되었을 뿐 통상의 드라마에서 흔히 보던 구도였기 때문에 각 에피소드의 소결론을 짐작하는데 방해되는 요소도 없었고 역시나 예상했던 바대로 이야기는 결말을 맺는다. 또 여주인공 앤헤더웨이의 처진 눈매가 그녀의 패션과 제법 잘 어울린다는 것도 영화를 흥겹게 볼 수 있는 매력포인트였다.

다만 군데군데 감상의 흐름을 막는 억지스러운 설정이 눈에 거슬렸는데 특히나 결국 패션업계가 속물 부르주아지의 사행심을 갉아먹고 사는 산업일 뿐이라는 결말부분에 대해서는 다소 의아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으로 똘똘 뭉친 편집장 머랜더도 일갈하였듯이 패션업계의 선구자들이 갈고닦아놓은 미적감각이 결국 패션 문외한의 취사선택에 일조하였고 기왕에 옷을 입을 바에야 가격의 높고 낮음을 떠나서 당초의 앤헤더웨이의 촌스런 패션보다 나중에 입은 패션들이 훨씬 사람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 사실인데, 단순히 패션계 한 거장의 추한 모습 때문에 패션계 전체가 싸잡아 욕을 먹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리고 결말이 이러할 영화에 패션업체들이 왜 옷을 협찬했을까 등의 의문점이 남았다. 결국은 그녀가 선택하는 언론계 역시 양아치도 많고 속물도 많은 세상 아닌가? 언론계에 입문한다고 다시 촌스러운 패션으로 회귀할 필요가 있는가?

요컨대 이 영화에서 나름 펼치려 했던 ‘정치적 올바름’ 철학이 남자 배우자에게의 사과라는 남존여비적인 화해 – 차라리 이 남자배우의 혐오스러운 헤어스타일과 구리구리한 티셔츠가 더 짜증난다 – , 패션계에서 일했던 나름의 노하우에 대한 철저한 부정으로 굳이 표현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공감이 되질 않았다.

차라리 머랜다를 떠나서 자신만의 패션레이블을 만든다는 결말은 어땠을까? 동대문에 점포라도 하나 내서 새로 시작하는 결말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Play It Again, Sam

우디알렌의 희곡을 바탕으로 허버트로스가 1972년 만든 이 영화는 비록 우디알렌이 감독한 작품은 아니지만 그의 필로모그래피 전반에 차용되는 여러 분위기들 – 이를테면 주인공의 편집증적인 성격, 도시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욕정과 배신, 사랑이라는 감정의 모순 등 – 이 충실하게 재현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아내에게 버림받은 소심하고 나약한 영화평론가 알란펠릭스(우디알렌)은 언제나 카사블랑카의 험프리보가트와 같이 카리스마있고 남성적 매력이 넘치는 자신을 꿈꾸고 영화에서는 상상속의 험프리보가트가 이러한 알란의 또다른 자아를 설명한다. 알란은 가장 친한 친구 딕 부부의 도움으로 그는 이런 저런 여자들을 만나지만 그러다 정작 딕의 아내인 린다크리스티(다이안키튼)을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결국 그 애틋한 감정은 린다의 거절로 순간의 추억이 되고 만다. 그럼에도 알란은 카사블랑카의 마지막 장면처럼 자신도 린다를 남자답게 떠나보내 주었다고 자위한다. 우디알렌다운 뻔뻔함이다. 우리가 우디알렌에게 발견할 수 있는 미덕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는 이 소품은 나른한 일요일 오후에 맥주 한잔을 옆에 두고 감상하기 딱 좋다.

p.s. 이 영화의 제목은 잘 알다시피 영화 카사블랑카의 명대사이다.

Me and You and Everyone We Know

Slacker 와 비슷한 느낌의 작품을 뽑으라면 이 작품을 뽑을 수 있다. 실력파 감독 Miranda July 의 원맨쇼 성격이 강한 – 주연, 감독, 시나리오 모두 혼자 소화해냄 – Slacker 보다는 더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스쳐지나가면서도 잡아내기 쉽지 않은 감성을 끄집어내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주인의 실수로 차 지붕에 얹힌 채로 고속도를 주행하는 금붕어, 음란한 채팅으로 백인여자의 맘을 흔들어놓는 흑인꼬마, 음란한 상상을 글로 적어 동네 소녀들이 보게끔 창밖에 붙여놓는 남자, 아이들에게 애정을 증명하기 위해 자기 손을 태우는 남자, 그리고 그 남자가 좋아서 주위를 뱅뱅 도는 주인공 등 모두가 쉽게 접할 수 없을 것 같은 인물이면서도 의외로 쉽게 마주칠 법도 한 인물들로 채워져 있다. 감독의 데뷔작인 이 영화는 선댄스 필름 페스티발과 칸느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감독의홈페이지 http://mirandajuly.com/
네이버 영화소개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1589

Night And The City

도시는 익명의 공간이다. 익명의 공간에서의 밤은 그 어느 공간 어느 시간보다도 낯선 공간 낯선 시간이다. 해리 페비안은 이러한 도시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익명의 공간에서 유일한 표식은 돈이다. 그래서 그는 그의 재기의 모든 부분을 쏟아 돈에 승부를 걸었다. 그러나 그에게 돌아오는 것은 차가운 조소뿐이었다. 친구들도 그의 직장상사도……. 유일한 그의 안식처는 여자친구 메리뿐이었다.

1950년 Jules Dassin 이 감독한 이 영화는 전후 냉엄한 폭력의 논리가 난무하는 런던이라는 공간에서 거물이 되기 위해 몸부림치는 한 젊은이의 희망과 좌절을 그린 영화이다. 매카시즘의 광풍을 피해 미국에서 건너온 감독은 런던 특유의 음습한 공기, 선악 구분이 묘한 캐릭터들의 배치를 통해 화면 가득 섬뜩한 현실이 묻어나는 도시의 괴담을 선보였고 주인공 해리 페비안을 연기한 Richard Widmark는 쾌활하면서도 허풍 섞인 주인공의 성격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연기를 통해 극의 활력을 더해주었다.

젊은 야욕의 좌절이라는 측면에서 “젊은이의 양지”나 “태양은 가득히”와 같은 동 시대의 걸작들을 연상시키는 이 작품은 1992년 Robert DeNiro 를 주연으로 내세워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작품소개 :

http://allmovie.com/cg/avg.dll?p=avg&sql=1:35188

http://en.wikipedia.org/wiki/Night_and_the_City

Superman Returns

감독 브라이언 싱어가 게이라는 사실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인가보다. 이때문에 외신에서는 ‘슈퍼맨은 얼마나 게이스러운가?’라는 기사가 화제가 된적도 있다고 한다. 로이스 레인이라는 다소는 이기적인 여인을 헌신적으로 사랑하는 슈퍼맨에게 얼마나 ‘게이스러운가’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 것이 멋적은 일이지만 그것도 일종의 마케팅 전략이리라.

나에게 만약 이 영화에 대한 비슷한 기사를 쓰라고 한다면 나는 ‘슈퍼맨은 얼마나 신격화되었는가?’라고 쓸지도 모르겠다. 슈퍼맨이야 지구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초영웅이라는 사실은 초딩들도 다 아는 설정이지만 그것이 궁극적으로 지구의 평화를 지키느냐 아니면 지구의 사건사고 발생률을 얼마간 감소시킬 수 있느냐 하는 식의 질문을 하면 갑론을박이 있을 수 있다.


슈퍼맨이라고 시간을 무한정 늘여살 수 없는 일이고 그나마도 낮에는 돗수없는 안경끼고 능력없는 기자 생활을 해야하니까 일단 8시간(사실 기자라는 직업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턱도 없이 짧은 근로시간이지만)은 회사에서 근무해야 할테고 한잠도 안자고 슈퍼맨으로서 근무를 한다고 해도 16시간 근무인데 지구에서 발생하는 모든 범죄와 사고에 다 개입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초영웅 영화에 현실성 운운하는 것이 우스운 이야기일지 몰라도 어쨋든 그의 슈퍼맨으로서의 근무시간 운운하는 이유는 이 영화에서 그가 로이스에게 한 이야기때문이다. 즉 그는 지상에서 떠드는 모든 대화가 들린다고 했다. 이는 단순히 그가 들을 수 있는 범위안에서만 지구를 지키는 유한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한다. 그 분은 모든 곳에 존재하신다는 암시가 아닐까? 로이스의 아들이 슈퍼맨의 아들이라는 암시에서부터 후반부 슈퍼맨이 로이스의 아들에게 하는 독백을 듣고 있자면 기독교적인 신성의 후계구도가 연상된다.


 영화를 다 보고난 후 그가 얼마나 게이스러운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오리무중이지만 감독이 슈퍼맨을 미국의 대중문화에 어떠한 존재로 위치지우려 하는지에 대해서는 어림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슈퍼히어로 중에서도 슈퍼히어로… 또는 신적존재로서의 슈퍼맨. 우리는 그런 슈퍼맨을 필요로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