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드라마

Gate of Flesh/ 肉體の門(1964, 日)

다무라다이지로(田村泰次郞)의 원작(1948년)을 바탕으로 스즈키세이준이 감독한 소프트코어 섹스영화. 감독의 분신이나 다름없는 ‘알사탕 사나이’ 시시도 조가 예외 없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 전쟁의 참화 속에서 그악스러움을 무기로 살아가고 있는 여인들의 삶터에 찾아들며 성(性)을 통해 정신의 지배자로 군림하는 이부키 역을 맡았다. 일본에서 특유하게 성장하였던 Pink Eiga(ピンク映画) – 196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전성기를 이루었던 소프트코어 섹스영화장르 – 라는 장르의 대표 격으로 사도-메조히스틱한 성묘사를 통해 성(性)정치학을 탐구하여 오시마나기사의 ‘감각의 제국’과 함께 비교하여 감상하면 좋을 영화.

Heavenly Creatures(1994)

우정이 얼마나 파괴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영화. 악랄하리만큼 변태적인 컬트 Bad Taste 의 감독에서 ‘반지의 전쟁’으로 거장의 반열에 오른 피터잭슨이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1994년작. 외골수 파울린이 생기발랄한 소녀 줄리엣(케이트윈슬렛)을 만나서 애정에 가까운 우정을 발전시켜나가는 와중에 둘은 줄리엣의 엄마가 자신들의 우정을 파괴하려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게 된다. 결과는 파국적 종말. Bad Taste, Dead Alive 의 악동 스타일 영화로 명성을 얻은 피터잭슨은 정통극 영화에도 뛰어난 감각을 지니고 있음을 증명해준 영화. 실화의 주인공은 후에 소설가가 되었다 한다.

Kids

여기 나오는 십대들의 공통점은 한마디로 <개념없음>이다. 여자랑 자기위해서는 온갖 감언이설로 꼬셔내고 하루만 지나면 무슨 일이 있었냐는 듯이 새 섹스상대를 바꿔대는 아이, 밥 먹듯이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훔치는 아이, 기분 나쁘다며 다른 십대를 집단 구타하는 아이들, 마약을 하고 술이 떡이 되도록 마시고는 떠들썩하게 파티를 하고는 아무데서나 잠을 청하는 아이들 등등. 친구를 따라나섰다가 뜻밖에도 에이즈에 걸린 사실을 알게 된 소녀가 자신의 섹스상대를 찾아다니며 벌어지는 해프닝을 다룬 영화로 마치 다큐멘터리와 같은 스타일로 진행되는 영화여서 현실감이 더하다. 결말부분에 멋도 모르고 달려들던 녀석이 불쌍하다. Larry Clark 의 1995년 감독데뷔작

Cachorro

Tlareleasingbearcub.jpg
Tlareleasingbearcub” by Poster scan.. Licensed under Wikipedia.

스페인산 퀴어 영화다. 일단 퀴어 영화도 흔치 않은 소재인데다 스페인산이라니 스페인의 동성애자들은 어떻게 사나 궁금할 법도 하다. 첫 장면부터 충격적이다. 제법 살집이 있는 – 이 영화의 영어제목 Bear Club에서 Bear는 살집이 있으신 동성애자들을 가리키는 말로 그쪽으로도 제법 시장(?)이 크다고 한다 – 두 남자가 벌이는 섹스신에 고스란히 노출되는 성기, 거침없는 마약문화의 노출 등 제법 하드코어하게 나간다. 그렇지만 그러한 낯선 문화만 제쳐놓고 본다면 그리 거부감 없는 일상적인 드라마다. 사고뭉치 누나로부터 떠맡은 조카, 서먹함을 극복하고 같은 핏줄의 애정을 확인하는 순간부터 닥치는 시련, 이에 대한 극복 등 게이코드라는 배경을 깔고 일상에서 벌어질법한 일을 무리 없이 그려낸 수작이다. 감독은 이런 잔잔한 드라마를 통해 동성애도 우리네 나머지 삶의 구성요소 중 특별할 것 없는 하나임을 말하고자 하였던 것 같다.

24 Hour Party People

24 Hour Party People quad poster.jpg
By <a href=”//en.wikipedia.org/wiki/Film4″ title=”Film4″>Film4</a> – <a rel=”nofollow” class=”external free” href=”http://www.ukmovieposters.co.uk/ukpostertax/rare-original-movie-posters/page/9/”>http://www.ukmovieposters.co.uk/ukpostertax/rare-original-movie-posters/page/9/</a>, Fair use, Link

조이디비전, 뉴오더, 팩토리 레코드, 버즈칵스, 해피먼데이스, 하시엔다, 그리고 맨체스터……. 펑크나 인디락 계열의 음악을 즐겨듣는 이들이라면 친숙할 이 단어들은 70년대 펑크의 폭발적인 인기를 등에 업고 나타난 80년대의 포스트펑크 조류, 레이브 문화, 신스팝, 그리고 이 모두를 한데 묶어 커다란 공간 안에 표출한 맨체스터라는 도시의 인식표들이다. 저널리스트이자 팩토리 레코드사의 설립자이자 클럽주인이었던 토니윌슨의 행적을 뒤쫓으며 매드(mad)체스터라고까지 불렸던 당시의 쾌락주의적이고 음울한 맨체스터의 뮤직씬을 경쾌한 카메라웍으로 되짚어 보는 이 영화는 대개의 음악영화들이 그렇듯이 알면 재밌고 모르면 지루한 영화다. 그러므로 영화의 재미를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취향이 아니더라도 영화 감상 전에 대충 스톤로지스, 해피먼데이스, 뉴오더, 808스테이트 등 당시 맨처스터라는 도시를 강렬한 비트로 두들겨댔던 음악들을 감상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뉴오더의 팬으로서 한가지 불만이라면 해피먼데이스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춘 감이 없지 않음. 웰컴투사라예보의 마이클 윈터바텀 2002년 작.

※ 이 영화가 한국에서 뒤늦게 개봉할 당시 극장에서 관람한 적이 있는데, 놀랍게도 영화가 끝난 뒤 감독이 직접 내한하여 관람객들과 대화를 갖는 행사가 진행되었다. 나도 나중에 손을 들어 감독에게 실제로는 어떤 밴드가 최애냐 물었었는데 아마 해피먼데이스라고 대답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 관련 홈페이지는 http://www.partypeoplemovie.com/ 최근(2014년 7월 현재) 들어가보니 문을 닫았다. web.archive.org의 힘을 빌어 예전 사이트를 들어가서 아래 이미지를 얻어옴.

[펌:아도니스]웰컴 투 사라예보

웰컴 투 사라예보 (Welcome To Sarajevo, Michael Winterbottom, 1997)

개인적으로 지금 영국에서 가장 주목하는 감독은 뭐니뭐니해도 마이클 윈터바텀입니다. ‘쥬드’에 한 방 먹어서 한 해 동안 얼얼하게 만들었으니까요. 바늘 한 뜸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완벽할 것 같은 컷 구사 능력에 잔뜩 매료됐었지요. 대체 이 감독이 누군가 싶어 그때부터 찾고 다녔어요. 안타깝게도 영국 영화제가 열릴 동안 뭔가 다른 일이 있어서 ‘더 클레임’밖에는 보지 못했습니다. 더 안타깝게도 영국 배우의 자존심 피터 뮬란과 제가 좋아하는 밀라 요보비치 양이 나왔음에도 그 영화는 제 기대를 만족시키주지 못했었습니다.

이미 비디오를 출시되었다는 ‘광끼’랑 ‘버터플라이 키스’를 찾고 다니느라 수유리 일대를 뒤졌지만 허사. 그는 지금 돈이 생기면 제가 사야 봐야 할 DVD 1순위. 아트 하우스에 경도된 국내 씨네마텍 경향에도 불만입니다. 윈터바텀, 아키 카우리스마끼, 예지 스콜리모우스키 등 현실 발언들을 한 감독들도 좀 불러들였으면 좋겠단 바램입니다.

마이클 윈터바텀은 다소 노쇄해 보이는 듯한 켄 로치를 대신할 차세대 영국 좌파 감독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평가입니다. 이미 ‘웰컴 투 사라예보’와 아프가니스탄 난민에 대한 영화 ‘인 디스 월드’로 그 진가를 발휘하기도 했지요. 가장 최근에 만든 영화는 ‘코드 46’인데, 팀 로빈슨의 열연에도 불구하고 제 마음에는 쏙 들어오지 않더군요.

제가 그의 영화들 중에 가장 보고 싶어하는 영화는 ‘광끼’, ‘버터플라이 키스’, ‘원더랜드’와 같은 초기작들과 ‘인 디스 월드’입니다. 대체 ‘인 디스 월드’는 국내에 들어오기나 한답니까? 나중에 DVD 구입할 때 이 양반 리스트를 몽땅 구입하고 싶어요. 현재 ‘24 Hour Party People‘은 구해놨는데 못 보고 있습니다.

보스니아 내전에 관한 이야기여서 미루다 미루다 이제서야 본 ‘웰컴 투 사라예보’는 제 게으름을 난도질하는 통증이 있는 영화군요. 보스니아 내전 현장에 들어가 살아 있는 영상을 만든 그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사라예보 소녀를 영국으로 데려온 어느 기자의 눈을 통해, 제노사이드의 어떤 흔적도 없다며 20세기 최대의 인종청소 전쟁을 방관했던 서유럽 정치 지도자들에 대한 실랄한 비판을 가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다큐와 픽션이 뒤섞여져 있는데, 너무 처참해서 눈을 돌리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전세계 비극의 현장을 돌며 디지털 카메라를 들이대는 분들을 보면 한없이 왜소해지는 기분이 듭니다.

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푼수없이 또 울게 되더군요. 사라예보 산 꼭대기에서 공연이 펼쳐집니다. ‘사라예보를 구하자’라는 플랭카드가 붙여 있고, 혼자 남자가 첼로를 켜고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알비노니의 ‘현과 오르간을 위한 아다지오’. 며칠 전 타계한 수잔 손택도 문뜩 생각나더군요. 평화를 바라며 전쟁 중인 사라예보에서 ‘고도를 기다리며’를 공연했던 그녀가 당시 남긴 말은 ‘실제의 포탄 소리는 텔레비젼에서 듣는 것보다 크다.’

2005-01-02

http://www.jinbonuri.com/bbs/zboard.php?id=haeuso&page=1&sn1=&divpage=5&sn=on&ss=off&sc=off&keyword=아도니스&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2644

Me and You and Everyone We Know

Slacker 와 비슷한 느낌의 작품을 뽑으라면 이 작품을 뽑을 수 있다. 실력파 감독 Miranda July 의 원맨쇼 성격이 강한 – 주연, 감독, 시나리오 모두 혼자 소화해냄 – Slacker 보다는 더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스쳐지나가면서도 잡아내기 쉽지 않은 감성을 끄집어내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주인의 실수로 차 지붕에 얹힌 채로 고속도를 주행하는 금붕어, 음란한 채팅으로 백인여자의 맘을 흔들어놓는 흑인꼬마, 음란한 상상을 글로 적어 동네 소녀들이 보게끔 창밖에 붙여놓는 남자, 아이들에게 애정을 증명하기 위해 자기 손을 태우는 남자, 그리고 그 남자가 좋아서 주위를 뱅뱅 도는 주인공 등 모두가 쉽게 접할 수 없을 것 같은 인물이면서도 의외로 쉽게 마주칠 법도 한 인물들로 채워져 있다. 감독의 데뷔작인 이 영화는 선댄스 필름 페스티발과 칸느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감독의홈페이지 http://mirandajuly.com/
네이버 영화소개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1589

Slacker

어렸을 적 이런 상상을 한 적이 있다. 그냥 스쳐지나가는 사람들을 이리저리 따라 카메라가 움직이면서 자잘한 에피소드를 보여주고 끝에 건널목에서 그 사람들이 다 모여서 끝을 맺는 그런 영화형식을 상상해 본 적이 있다. 이런 내 상상을 고스란히 옮겨놓은 영화가 있는데 Richard Linklater 의 1991년 작 “게으름뱅이(Slacker)”가 딱 이런 작품이다. 영화의 고갱이가 되는 플롯은 없다. 카메라는 그저 거리에서 마주치는 평범한 사람들 사이를 파 헤집고 다닐 뿐이다. 어수룩한 강도, 혁명을 회상하는 노인, 길가는 사람들에게 음모론을 전파하는 룸펜, 유명 연예인의 대변이라며 이를 팔려는 여인(위 사진)등……. 이런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의 영화로 완성된다. 영화제작비는 2천만 원 약간 넘게 들었다 한다. 물론 8백만 원 들었다는 엘마리아치도 있지만 아무튼 상당히 저렴하게 90년대 독립영화 최고의 문제작을 만들어냈으니 남는 장사다. 이 영화가 데뷔작이었던 감독의 이후 필르모그래피는 줄리델피 주연의 ‘해뜨기 전에(Before Sunrise)’에서부터 잭블랙의 스쿨오브락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화려하다.

Soy Cuba

Soy Cuba(“나는 쿠바다”라는 뜻)는 네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영화이다. 쿠바혁명 이후 쿠바 혁명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 영화에서 각 에피소드의 주인공들은 착취당하고 있던 쿠바를 대표하는 전형들이었다. 생계를 위해 몸을 파는 젊은 여인, 하루아침에 땅에서 쫓겨 난 농민, 혁명을 위해 헌신하는 학생 등 갖가지 삶의 군상이 비춰지지만 이들은 하나같이 제3세계 식민지라는 구조적 질곡에 몸부림치는 소시민들이다. 결국 이 영화는 혁명의 결과를 묘사하진 않지만 학생투사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몰려든 군중이나 가족을 지키기 위해 총을 든 농민들의 모습에서 결과의 단초를 말해주고 있다. 정치적 이유에서가 아니더라도 그 형식의 탁월함이나 마술 같은 영상 자체로도 걸작의 반열에 올려놓을 만하지만 미국에서는 오랜 기간 상영금지 목록에 올라있었다.

‘빵과 장미’를 보고

막 영국 감독 켄로치의 최신작 ‘빵과 장미’를 봤습니다. 켄로치는 잘 아시겠지만 사회주의자로서 일관되게 좌파적 시각과 민중의 시각에서 작품을 만들어 온 작가시죠. 그의 작품은 드라마적인 영화문법을 쓰고 있습니다. 평이한 카메라웍, 어찌 보면 도식적이기까지 한 플롯 등… 그래서 과거 즐겨 보던 어려운 표현주의적인 작품이나 요즘의 MTV식의 편집으로 정신없게 만드는 그런 작품을 보다 그의 작품을 보면 싱거워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형식은 어찌 보면 그가 작품에서 담아내고자 하는 내용을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쉬운 언어로 전파하고자 하는 그만의 형식미학이라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플롯을 구태여 복잡하게 꼬지 않고 서민들이 즐겨 보는 평이한 드라마 기법으로 사건을 풀어나가되 사태의 본질을 왜곡시키지 않고 정확히 꿰뚫는 그런 자신만의 리얼리즘 미학.

이 영화 ‘빵과 장미’ 역시 그러한 태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멕시코 국경을 월경하는 불법이민자들의 숨가뿐 모습에서 시작하는 영화는 주인공 마야의 빌딩 미화원으로의 취직, 노조조직원 샘(아드리안 브로디라고 왜 그 아카데미시상식에서 할베리하고 딥키쓰했던 그 총각이 역을 맡았습니다)과의 만남을 통한 노동자 의식의 각성, 사측의 노골적인 방해공작, 샘과 마야의 애정사, 이어지는 투쟁, 그리고 마침내 노조의 승리에 이르기까지 담담하고도 담백하게 진행됩니다.(마지막에 반전이 있는데 그것까지 말하면 스포일러이므로 함구)

이 영화는 어떤 의미에서 제게 공포영화였습니다. 저는 흔히 사람들이 공포영화를 즐기는 이유가 스크린내의 공포가 우리한테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안도감 때문에 보는 게 아닐까 생각해보곤 합니다(그래서 사실 좀비니 늑대인간이 나오는 영화보다는 실제 우리의 일상을 헤집는 Fatal Attraction 이나 Rosemary’s Baby 같은 영화가 훨씬 무섭죠). 그런 관점에서 이 영화 ‘빵과 장미’는 노동자의 비참한 일상과 그에 따른 고통이 섬뜩하게 표현되며 그 고통이 다른 공포영화와 달리 우리의 일상 속에서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에서 가장 고밀도의 공포영화인 셈이죠. 먼 나라 미국에서의 미화원이 겪는 고통은 지금 이 땅 남한 내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지 않습니까?

아무튼 이 영화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제목입니다. ‘빵과 장미’.

영화의 하이라이트에 노동자들은 시위를 벌입니다. 그리고 그 시위에 들고 나온 플래카드에는 이렇게 써있습니다. “우리는 빵을 원한다. 그러나 또한 장미를 원한다.” 빵은 말 그대로 경제적인 요구입니다. 장미는? 그건 인간으로서의 자존심입니다. 노동자의 인격을 파괴하는 장면은 중간관리자 페레즈를 통해 형상화됩니다. 취직 명목으로 첫달치 월급을 뺏어가고 노골적으로 성관계를 요구하는 그는 언제나 얄미운 자본의 악랄함의 가장 밑바닥의 모습입니다.

빵 뿐만 아니라 장미를 달라는 노동자들의 요구. 모든 인간관계에서 요구된다는 생각이 최근 들어 부쩍 듭니다. 저 다니는 회사에서도 미화원 아주머니들에게도 인사를 합니다(사실 의식적인 노력입니다만 대부분 사원들은 안 합니다). 또 다른 것들이 많겠죠. 누가 되었건(그게 우리가 척결해야할 악랄한 지배계급이 아니라면) 인간에 대한 예의, 상호존중은 마지막 순간까지 지켜야 된다고 봅니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 갚는다는 속담도 이걸 이야기하는 건지도 모릅니다. 사회주의자이건 또는 자본주의자건 간에 (하물며 좌파들끼리는) 상대에 대한 존경심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그건 빵보다도 중요하니까요.

영화에서 루벤이라는 남자미화원이 청소하고 있던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사람들이 그를 훌쩍 건너 넘어가자 마야에게 이런 말을 합니다.

“유니폼을 입으면 우린 투명인간이 되는 것 같아.”

200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