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m! / Make It Big
By Wham! – Discogs.com, www.discogs.com/Wham-Make-It-Big/release/1682483, Fair use, Link 정말 재미있는 사실은 Make It Big이라는 앨범 타이틀이 실제로 이 앨범을 통해 엄청난 성공을 맛본 듀오 Wham!에 대한 주술이나 예언이라도 되는 것 처럼 들린다는 사실이다. 1983년에 발매된 그들의 데뷔앨범 Fantastic!이 미쳐 다듬어지지 않은 거친 싸운드, 마치 하드라커같아 보이는 그들의 가죽점퍼 차림의 앨범커버 등이 메이저로의 진입이 아직은 시기상조임이
Spandau Ballet / Parade
“Spandau Ballet – Parade Coverart” by From Amazon.. Licensed under Fair use via Wikipedia. 우아하고 표준적인 락 앨범이다. 그들의 작품 중에서도 R&B와 재즈의 엣센스를 가장 강하게 도입한 퓨전적 작품이다. 별로 무거운 타악기가 들어가 있는 것도 아니고, 신디사이저의 사용 비율이 높은 것도 아니다. 드럼, 퍼커션, 피아노, 그리고 베이스를 내추럴하게 잘 다루면서, 설득력 있는 Tony Hadley 의
Prince / Purple Rain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https://www.amazon.com, Fair use, Link 프린스는 음악적 능력을 검증 받기도 전부터 상스러운 뮤지션으로 평가절하됐고, 적어도 대중들에게는 혐오감을 주는 가수 이상의 의미를 부여받지 못했다. ‘섹스 중독증에 걸리지 않았으면 십중팔구 성적 결핍이 분명하다’란 여론이 지배적이었고, ‘정신 병원 진찰 요망’이란 외지 평가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하지만, 프린스를 얕잡아본 매스컴과 음해
Original Soundtrack / Footloose
“FootloosePoster” by IMPAwards.com. Licensed under
Howard Jones / Human’s Lib
“HowardJonesHumansLib” by The cover art can be obtained from Warner Music UK Ltd.. Licensed under Fair use via Wikipedia. One Man Band 의 시조격인 Howard Jones 의 80년대 전후반에 걸친 음악적 성공의 서막을 알린 그의 데뷔앨범이다. 이미 New Song 과 What Is Love 가 영국과 미국에서 발매되어 상업적 성공을 거둔 후였기에 데뷔앨범을 어느 정도 성공이
Frankie Goes To Hollywood / Welcome To The Pleasuredome
By Lo Cole – http://www.cosmonaut.ch/vinyl/2010/12/frankie-goes-to-hollywood-welcome-to-the-pleasuredome-zttiq-1/ (Edited), Fair use, Link 영국의 영화 비평지 Sight And Sound에서는 국제 영화학자와 비평가들을 대상으로 10년에 한번씩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첫해인 ’52년을 제외하고 항상 수위를 지켜온 영화가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오슨 웰즈의 영화 ‘시민 케인’이다. 영화학도라면 한번씩은 보았을 이 영화는 솔직히 재미가 없지만 기술과 표현면에서 흐름을 바꿀만한 대단한 의미를 가진다. 영화의
Fiction Factory / Throw the Warped Wheel Out
“Fictionfactorythrowthe” by The cover art can be obtained from the record label.. Licensed under Fair use via Wikipedia. (Feels Like) Heaven 이라는 80년대 신스팝 클래식을 남기고 홀연히 사라져 버린 Fiction Factory 의 데뷔앨범 Throw the Warped Wheel Out 을 eBay에서 경매로 구입하였다. 타이틀 트랙인 이곡은 Depeche Mode 의 음악문법을 충실히 재현하는데 한발 더 나아가 Kevin
Depeche Mode / Some Great Reward
“Depeche Mode – Some Great Reward” by The cover art can be obtained from Mute Records.. Licensed under
Bob Marley / Legend
라스타파리아니즘 (아디오피아의 황제 하일 세라시를 숭배하는 사상으로 아프리카로 의 복귀를 주장)백인들의 인종 차별과 월권 행위에서 비롯된 소수 민족들의 숱한 역사적 사건들을 만들어 냈고 뿌리 깊은 한으로 확대되어 나갔다 자메이카의 토속 음악에 흑인들의 리듬 앤 블루스 풍의 요소가 접목되어 탄생된 레게음악에는 민족적인 한과 종교적 신념이 어려 있다. 지미 클리프와더불어 지역 음악에 불과했던 레게사운드를 전세계로 전파시키는 데
카테고리
최신 글
태그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country.kr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