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재앙

28 Days Later

좀비 영화는 손에 꼽을 수 없을 만큼 많다. B급 공포영화 감독들은 틈만 나면 무덤에서 잘 쉬고 있는 엄한 좀비를 깨워 – 주로 여름에 – 사람들을 고함지르게 했다. 주목할 만한 좀비 영화로는 역시 조지로메로의 일련의 좀비시리즈, 데이빗크로낸버그의 스캐너스, 그리고 존랜디스가 감독한 마이클잭슨의 스릴러 등이 있다.

이렇듯 흔해빠진 소재를 재기발랄한 대니보일이 손댄 까닭은? 그래도 재밌으니까. 예전에 전설의 고향이 아무리 욕을 먹어도 여름만 되면 구미호 이야기를 재탕하듯이 좀비는 언제 흔들어 깨워도 깨워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이다. 얼굴은 짓이겨져 썩은 것들이 엉금엉금 기어 다니는 꼴은 소름끼치기도 하고, 지저분하기도 하고, 한편 우습기도 하고…. 요컨대 구미가 당기는 캐릭터다.

그래서 결국 관건은 좀비영화의 한계를 어떻게 뛰어넘는가 하는 것인데 개인적인 의견을 말하자면 대니보일은 그 한계를 가볍게 뛰어넘은 것으로 판단된다.

스토리는 말할 것도 없이 좀비에 의해 세상은 점령당했고 그들에게 대항하는 소수의 인간들이 서로에게 연락을 취하면서 모이려고 한다. 수많은 난관을 뚫고 도착한 그 곳에는 좀비보다 무서운 인간(!)들이 버티고 있다는…. 무시무시한 결말이 기다리고 있다.

상황은 조지로메로의 Day of The Dead 와 흡사하다. 하지만 나름의 오리지날리티도 있다. 현재 후속작 28 Weeks Later 가 2007년 개봉예정이라 한다.

The Quiet Earth

아침에 눈을 떴는데 세상에 나만 홀로 살아남아있는 경우를 상상해 본적이 있는가? 이 영화가 그렇다. 과학자 Zac Hobson 이 어느 날 눈을 떠보니 평온한 기운과 달리 무언가 달라져있었다. 주변에 인기척이 없는 것이다. 거리에도 상점에도 그가 근무하는 연구소에도……. 지구상의 생명체는 흔적도 없이 사라진 것이다. 원인은 바로 자신이 실험했던 새로운 에너지 발굴실험 탓이었다.

이제 그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당황한 그는 이리저리 인간을 찾아 헤매다 이내 단념하고 혼자뿐인 세상에서 물질적 욕구를 폭식하는 쪽을 택한다. 그러나 그마저 이내 질려버리고 또다시 헤매다 결국 한 여인과 – 그가 사랑에 빠진 – 경계심이 강한 남자를 만난다.

세상에 셋 뿐인 인간관계. 그 기묘한 관계 속에서 서로 갈등하고 반목하고 사랑하다가 결국 Zac Hobson 은 지구를 온전히 원 상태로 돌려놓는 도전을 감행한다.

과학맹신주의에 대한 비판의 메시지보다는 찰튼헤스턴의 ‘혹성탈출’이나 대니보일의 ‘28일 후’ 처럼 인간이라는 존재의 부재에 의한 공포감을 극대화하는 쪽에 더 강조를 한 작품이라는 것이 감상포인트다.

The War Of The Worlds

외계생물체의 침공이라는 소재는 그것이 냉전시대의 공산주의의 위협에 대한 은유로 해석되건 아니건 간에 에스에프에서 하나의 독자적인 장르를 형성할 만큼 인기 있는 소재이다. 2005년 탐크루즈 주연으로 리메이크된 이 작품(1953년 제작)은 그러한 작품 트렌드의 시초가 되었던 걸작이다.

H.G. Wells 의 원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의 미덕은 외계인의 침공 이유 등과 같은 자잘한 배경설명은 과감히 생략하고 침공의 스펙타클함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이다. 오늘날과 같이 특수효과가 발달하지 않은 당시에도 빼어난 디자인을 자랑하는 외계비행체의 소름끼치는 촉수가 뿜어내는 광선과 이로 인해 파괴되는 인간의 삶을 근사하게 표현해내고 있다.

당시 극장에서 이 장면을 숨죽이며 지켜봤을 관객이라면 스펙타클한 화면에서 뿜어 나오는 화력에 무기력하게 당하는 인간에게 안타까움을 느끼는 한편으로 자신은 영화가 끝나면 다시 평안한 일상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안도감의 롤러코스터에서 충분한 만족감을 보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어쨌든 50년대의 헐리우드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풍부한 에스에프, 괴수영화를 양산해내며 해당 장르를 메인스트림으로 격상시켜놓았던 시절이었음에 틀림없다.

Superman Returns

감독 브라이언 싱어가 게이라는 사실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인가보다. 이때문에 외신에서는 ‘슈퍼맨은 얼마나 게이스러운가?’라는 기사가 화제가 된적도 있다고 한다. 로이스 레인이라는 다소는 이기적인 여인을 헌신적으로 사랑하는 슈퍼맨에게 얼마나 ‘게이스러운가’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 것이 멋적은 일이지만 그것도 일종의 마케팅 전략이리라.

나에게 만약 이 영화에 대한 비슷한 기사를 쓰라고 한다면 나는 ‘슈퍼맨은 얼마나 신격화되었는가?’라고 쓸지도 모르겠다. 슈퍼맨이야 지구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초영웅이라는 사실은 초딩들도 다 아는 설정이지만 그것이 궁극적으로 지구의 평화를 지키느냐 아니면 지구의 사건사고 발생률을 얼마간 감소시킬 수 있느냐 하는 식의 질문을 하면 갑론을박이 있을 수 있다.


슈퍼맨이라고 시간을 무한정 늘여살 수 없는 일이고 그나마도 낮에는 돗수없는 안경끼고 능력없는 기자 생활을 해야하니까 일단 8시간(사실 기자라는 직업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턱도 없이 짧은 근로시간이지만)은 회사에서 근무해야 할테고 한잠도 안자고 슈퍼맨으로서 근무를 한다고 해도 16시간 근무인데 지구에서 발생하는 모든 범죄와 사고에 다 개입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초영웅 영화에 현실성 운운하는 것이 우스운 이야기일지 몰라도 어쨋든 그의 슈퍼맨으로서의 근무시간 운운하는 이유는 이 영화에서 그가 로이스에게 한 이야기때문이다. 즉 그는 지상에서 떠드는 모든 대화가 들린다고 했다. 이는 단순히 그가 들을 수 있는 범위안에서만 지구를 지키는 유한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한다. 그 분은 모든 곳에 존재하신다는 암시가 아닐까? 로이스의 아들이 슈퍼맨의 아들이라는 암시에서부터 후반부 슈퍼맨이 로이스의 아들에게 하는 독백을 듣고 있자면 기독교적인 신성의 후계구도가 연상된다.


 영화를 다 보고난 후 그가 얼마나 게이스러운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오리무중이지만 감독이 슈퍼맨을 미국의 대중문화에 어떠한 존재로 위치지우려 하는지에 대해서는 어림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슈퍼히어로 중에서도 슈퍼히어로… 또는 신적존재로서의 슈퍼맨. 우리는 그런 슈퍼맨을 필요로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