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funk

Combat Rock

The Clash - Combat Rock.jpg
The Clash – Combat Rock” by Source. Licensed under Wikipedia.

어릴 적에 이 앨범을 처음 구입했을 때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 어쩌면 당연하게도 – 밴드 멤버가 찍혀 있는 앨범 표지였다. 한적한 시골의 철도변에 앉아 있는 반항적인 펑크족들의 사진은 밴드의 음악적 방향을 잘 말해주고 있는 듯 하다. 뮤지션과의 작업을 많이 한 것으로 유명한 사진작가 Pennie Smith가 찍은 이 사진은 밴드가 1982년 동남아 여행을 하던 중 방콕 외곽의 한 버려진 철도에서 찍은 것이라고 한다.

1982년 5월 14일 밴드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앨범으로 발매된 이 작품은 영국 차트 1위, 미국 차트 7위까지 오르는 등 The Clash의 작품 중에서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 하지만 그 과정까지에는 어려움도 있었다고 한다. 애초 이 작품은 “Rat Patrol from Fort Bragg”이라는 이름의 더블 앨범으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Mick Jones의 믹싱에 불만을 품은 나머지 멤버들이 이 일을 Glyn Johns에게 넘겼고 작품 길이는 싱글 LP로 줄었다.1

앨범의 첫 싱글로 발표된 작품은 A면 첫 곡이기도 한 “Know Your Rights”다. “이것은 기타로 알리는 공공의 발표다.”라는 가사로 시작하는 이 노래는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세 가지 권리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이 권리들은 Catch22의 모순처럼 행사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면 “당신은 발언의 자유가 있다. 실제로 그걸 행사할 정도로 멍청하지 않다면 말이다.(The right to free speech, as long as you’re not dumb enough to actually try it)”

앨범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은 세 번째 수록곡인 “Should I Stay Should I Go?”다.2 이 곡은 밴드가 영국 싱글 차트에서 유일하게 정상을 차지한 곡이 되었다. 이 노래의 제목 때문에 이 앨범으로 불화를 겪고 결국 그룹을 떠난 Mick Jones의 자조적인 내용이 아니냐는 소문이 있기도 했지만 본인은 부인했다고 한다. 롤링스톤은 “Th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이라는 차트에서 이 곡을 228위에 올려놓았다.

“Should I Stay Should I Go?”와 함께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둔 또 하나의 싱글은 이어지는 곡 “Rock The Casbah”다. 이 곡은 빌보드 핫100 차트 8위까지 올랐는데 이는 밴드의 유일한 미국 차트 탑10 기록이다. 이 곡은 1979년 혁명 이후 서양음악을 금지한 이란 정권을 비꼰 내용이다. 이러한 상황은 실제로 이란계 프랑스 만화작가인 마르잔 사트라피의 자전적 작품 “Persepolis”에서 자세히 소개되기도 했다.3

요즘 들어 이 앨범에서 가장 맘에 드는 곡은 제목처럼 펑키한 리듬으로 무장한 “Overpowered by Funk”다. 80년대 The Jam, Spandau Ballet 등을 통해 일반화될 백인 펑크(funk)의 유행을 선도했던 이 노래는 영국에서 작업을 시작해서 앨범 전체를 마무리했던 뉴욕에서 완성되었다. 이 곡의 랩 부분은 뉴욕의 스튜디오에서 밴드의 “This Is Radio Clash” 등의 싱글 앨범 표지 작업을 맡기도 했던 Futura 2000이 맡았다.

앨범이 발표된 1982년은 영국 내부의 정치도 그러려니와 세계적으로도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The Clash는 이런 상황을 “전투 락”이라는 앨범 속에 진보적이면서도 유머러스하게 녹여냈다. 이 앨범의 미학적 가치는 또한 다양한 음악장르를 – 특히 랩이나 펑크(funk)와 같은 흑인음악을 –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이다. 밴드의 이러한 문화적 포용성은 펑크락(punk rock)이 단순한 백인 노동계급의 음악에서 머물지 않게 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1. 오리지널 믹스는 브트렉으로 팔리기도 했다고 한다
  2. 어릴 적 하숙집에서 이 노래를 내가 자주 들어 하숙집의 유행가가 되기도 했다
  3. 이란 정부의 풍속 경찰은 파티 등 서양의 문화를 단속했는데, 사람들은 이를 피하려다 지붕에 떨어져 죽기까지 하는 일화가 소개되고 있다

‘사랑과 평화’의 장미

[‘79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에 출연한 ‘사랑과 평화’. 사회는 현재 자유선진당 대표(!)로 계신 변웅전 옹. “요즘 중창단(!)들의 활약이 두드러져” 그해에 처음 신설했다는 “중창부문”의 후보로 올라 대표곡 ‘장미’를 부른다. ‘사랑과 평화’는 우리나라에서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 지금도 인기장르는 아니다 – 펑크(funk) 음악의 독보적인 존재다. 변웅전 옹의 나비넥타이와 무희들의 춤이 너무 너무 촌스러워 보이지만, 그 속에서도 ‘사랑과 평화’의 연주는 지금 들어도 세련돼 보일 정도로 매력적이다.

공연비디오

House

Swedish House Mafia and Benny Benassi.jpg
Swedish House Mafia and Benny Benassi” by Peter SalankiFlickr: Swedish House Mafia and Benny Benassi. Licensed under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하우스는 80년대초 디스코의 번성으로 활성화된 클럽 문화의 산물에 의해 디스코 리듬은 점차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여 ‘하우스(house)’를 형성한다. ‘웨어하우스(warehouse)’라는 댄스 클럽의 명칭에서 유래했다. 디스코가 팝 친화적인 양상이었던 것에 반해 하우스는 보다 기계적인 비트와 심도 있는 베이스 그루브 도입과 신스-팝(synth-pop), 라틴 소울(latin soul), 덥 레게(dub regge), 랩(rap), 재즈(jazz) 등의 다양한 요소와의 접목이 시도되고 보이스(voice)채널 역시 유명 가수의 싱어송(singer song)아닌 주로 무명 싱어의 의미 없는 멜로디가 단순 반복된다. 80년대말 하우스는 시카고, 뉴욕, 런던 등지에서 언더 그라운드클럽을 탈피하여 차트에 진입하기 시작하고 특히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팝 차트를 공략함과 동시에 변종화가 진행되어 hip-house, ambient house, acid house와 같은 다양한 서브장르를 탄생시켰다. 90년대에 하우스는 몇몇 멋진 음악들을 생산해냈다. 그러나 여전히 이들 음악은 주로 클럽에서 인기를 얻었다. 세기말에 Daft Punk, Basement Jaxx, 그리고 House of 909와 같은 진보적인 뉴웨이브 아티스트들이 새로운 하우스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주요 앨범들

Mr. Fingers: Introduction [1992]
Farley Jackmaster Funk: House Music Movement [1998]
LFO: Frequencies [1991]
808 State: Utd. State 90 [1990]
Moby: Everything Is Wrong: The DJ Mix Album [1996]
Adonis: No Way Back [1986]
Larry Heard: Parrains de la House [1998]

AllMusic 참조

훵크/훵키 (Funk/Funky)

James-Brown 1973.jpg
James-Brown 1973” by Heinrich Klaffs – http://www.flickr.com/photos/heiner1947/4430588088/in/set-72157623613839496/. Licensed under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최근 팝 뮤직이나 가요계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로 펑크, 펑키란 말이 있다. 그런데 매스컴에서 Funk도 펑크, Punk도 펑크로 표기하는 바람에 웬만한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어떨 때 Funk를 쓰고 어떨 때 Punk를 사용하는지 혼란을 초래한다. 그 이면에는 교육부에서 시달돈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P는 물론 ㅍ(피읖)으로 발음하게 돼있기 때문에 Funk나 Punk가 모두 펑크로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 오는 폐단이 발생한 것이다.

우선 Punk는 철저히 백인들에 의해 1970년대 생성된 록의 한 분파로서 중산층 및 상류층에 대한 반항과 기존 록 음악에 대한 반항적인 이념의 소산으로 생긴 장르인 반면 Funk는 순전히 흑인 소울 가수들에 의해서 표현되기 시작한 음악으로 원래 발음대로 훵크 또는 훵키라고 해야 타당하다고 간주된다. 그래야만 장르에서 오는 음악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훵크(Funk)란 흑인들의 속어로 성(性)적인 흥분이 고조에 달했을 때 풍기는 냄새를 말한다. 명사로 ‘악취’라는 뜻의 이 말의 형용사가 훵키(Funky)로서 블루스, 재즈 또는 록의 감각적인 성질에 관해서 말할 때 사용된다.

즉 50년대 초반 이후 재즈 피아니스트 호레이스 실버와 드러머 아트 블레이키가 하드 밥 계열의 음악을 블루스나 거스펄과 결합시키면서 현대적인 하모니가 가미되고 후에 소울(Soul)분위기가 적당히 조화를 이뤄 더욱 강렬하고 흥겨운 리듬 감각으로 표출한 흑인 음악이다. 이 음악은 특히 60년대 소울 뮤직이 사양길에 들어서고 70년대 디스코 음악이 고개를 쳐들던 시기에 생겨난 새로운 R&B 음악의 형태라고 풀이 할수 있다. 록에서 훵크의 시작은 60년대에 제임스 브라운이 개척자로 활약했다. 훵크를 논할 때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인물은 이 음악을 구체화 시킨 조지 클린턴은 ‘훵크 음악의 대부’로 불릴만큼 그는 가사의 표현이 너무 퇴폐적이라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훵크 음악을 가장 훵키하게 만들 때 대중들에게 보

급시킨 인물이다. 한편 제임스 브라운의 음악적 영향을 받아 70년대 초반, 9인조 그룹 쿨 앤 더 갱은 뛰어난 기량으로 펼치는 풍성한 사운드를 바탕으로 한 독특한 분위기의 음악을 구사하였다. 이어서 보다 훵키한 감각을 가진 훵크 뮤직과 록이 결합된 훵크 록 (Funk Rock)이 훵커델릭, 부치즈, 러버밴드, 파러멘트 등에 의해 소개 됐고 재즈계에서도 훵키 재즈(Funk Jazz)가 등장했다. 훵크의 특징은 약동적인 일렉트릭 베이스와 고음을 추구하는 리듬 기타, 신나는 브라스 사운드와 흥청거리는 분위기가 돋보인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기선을 제압하는 딱딱 끊어지는 스타카토 리듬에 라틴 퍼커션의 요소가 첨가된 댄스용 음악이라는 것이다. 최근 가요계에서도 특히 댄스뮤직과 재즈에서 훵크의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는데, 대표적인 곡으로 김건모의 <스피드>가 있다.

출처불명

Sheila E.

Sheila E. 1985.jpg
Sheila E. 1985” by MTV – ebay.com, front of photo, back of photo. Licensed unde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Sheila E. 는 1984년 봄에 프린스의 도움을 받아가며 자신이 직접 제작한 데뷔앨범 The Glamorous Life 중에서 타이틀트랙인 The Glamorous Life 를 대히트시키며 3개월만에 일약 스타덤에 오른 신데렐라이다. 그 후 그녀는 프린스의 미국 순회 공연에서 오프닝 멤버로 고정 출연하면서 많은 팬을 확보하였다.

Sheila E. 는 Sheila Escovedo라는 본명으로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1959년 12월 12일 태어났다. 그룹 Santana에서 타악기를 연주하던 퍼커셔니스트 Pete Escovedo를 아버지로 둔 덕택에 일찍부터 음악과 접할 수 있었다. 그녀 나이 5세때에는 콩가를 배우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Escovedo Brothers의 멤버로 활약, 15세때는 아버지가 이끄는 Azteca 그룹과 함께 남아메리카 투어에 동참하면서 경력을 쌓았다.

그러한 배경과 함께 실라는 조지 듀크, 프린스, 허비 행콕, 라이오넬 리치, 마빈 게이, 제프리 오스본 등의 선배 가수들과 함께 활동하며 재능있는 여성 아티스트로서 주목을 받았다. 그러는 한편 아버지와 함께 Pete & Sheila라는 듀오로 Solo Two, Happy Together 등 두장의 앨범을 발매하여 호응을 얻었다.

이런 그녀의 본격적인 음악활동이 시작된 것은 1984년, 프린스의 제의로 Erotic City에서 함께 노래부르면서 부터이다. 이어 그녀는 솔로 데뷔앨범의 히트와 함께 본격적인 솔로 여성 아티스트로서 활동하였다.

디스코그래피
1984 The Glamorous Life Warner
1985 Romance 1600 Paisley Park
1987 Sheila E. Paisley Park
1991 Sex Cymbal Warner
2000 The Writes of Passage Concord Jazz

링크
Official Site

Shakatak

영국 째즈-훵크(jazz-funk) 밴드 Shakatak은 1980년 런던에서 결성되었다. 원래 키보드주자 Bill Sharpe와 Nigel Wright, 기타리스트 Keith Winter, 베이시스트 Steve Underwood, 그리고 Roger Odell로 구성된 이 그룹은 데뷔 싱글 Steppin으로 언더그라운드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듬해 이들의 싱글 Livin은 영국 챠트 탑50에 올랐고 데뷔앨범 Drivin’ Hard 역시 좋은 평가를 얻었다. 1982년 발표된 Nightbirds(베이시스트가 Underwood에서 George Anderson으로 교체됨)에서는 Easier Said Than Done이 탑20에 올랐다. Nightbirds에서는 이후 그들의 다섯 번째 앨범에서 리드보컬리스트로 전면에 나선 Jil Saward도 참여하였다. 1984년 Down on the Street에서는 Watching You가 히트하는 등 일련의 작품들에서 수준급 싱글들이 선보여졌다.

1985년 라이브 공연에 이어 스튜디오 작업에 들어간 그들은 일련의 연주곡으로 채워진 Day By Day를 선보였는데 이 작품은 Shakatak이 유독 인기가 높았더 일본에서만 발매되었다. 반면 Mr. Manic and Sister Cool과 Somethig Special로 인기를 얻은 Maic and Cool은 전세계에 선보였다. 1992년 Open You Eyes가 빌보드 컨템포러리 챠트에 진입한 뒤 1993년 밴드는 남아프리카 공연에 나섰고 반면 뒤이은 Full Circle에서는 힙합 비트를 선보이는 등 다양한 음악적 향연을 이어나갔다.

디스코그래피
1981 DRIVIN’ HARD Polydor
1982 Nightbirds Polydor
1983 Invitations Polydor
1983 Out of This World One Way
1984 Down on the Street One Way
1987 Driving Hard Polydor
1989 Manic and Cool PolyGram
1990 Perfect Smile Verve
1991 Open Your Eyes Verve
1992 Night Moves Alex
1993 On the Street Alex
1994 Shakatak Live! One Way
1995 Full Circle ZYX
1998 Live at Ronnie Scott’s Indigo
1998 Shinin On Instinct
1998 Christmas Album Import
1999 Magic Instinct
1999 Coolest Cuts Polygram
2000 Remix Best Album Polygram
2000 Christmas Dreams PolyGram

링크
Official Site
Unofficial Fan Site

Ready For The World

Ready for the World 1985.jpg
By MCA RecordsAmazon.com, Fair use, Link

우리에게는 Oh Sheila라는 히트곡으로 잘 알려져 있는 Ready For The World는 Funk를 기반으로 한채 Rock적인 요소와 Synth-Pop적인 요소 등을 적절히 배합시켜 80년대 중반 R&B 차트에서 많은 인기를 얻었던 그룹이다. 마치 주술처럼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멜로디가 특징적이었던 Oh Sheila를 처음 들었을 당시 프린스의 곡이 아닌가 착각했을만큼 이들의 음악은 프린스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듯 하다.(심지어 노래제목마저 프린스 사단의 왕비격인 Sheila E.를 연상시킴에랴) 어찌 됐든 당시로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악기연주 중심의 이 흑인중창단은 몇번의 R&B차트에서의 성공에 이은 Oh Sheila의 대히트로 전세계적으로 그들의 이름을 알렸고 이어 좀더 Synth-Pop적인 요소가 강한 Digital Display가 역시 차트에 오르는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후의 행보는 그리 성공적이지 못하였고 다소 불명예스럽게도 80년대 One Hit Wonder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밴드가 되고 말았다.

디스코그래피

1985 Ready for the World [MCA]
1986 Long Time Coming [MCA]
1988 Ruff ‘N Ready [MCA]
1991 Straight Down to Business [MCA]
1996 Freak the World [Echo USA]
1997 Byob [Solar]
1997 Mary Goes Round [MCA]
1997 Cowboy [MCA]
1997 My Girly [MCA]

Level42

Level-42-mark1.jpg
Level-42-mark1” by Andwhatsnext, aka Nancy J Price – http://andwhatsnext.com/bandsOwn work. Licensed under CC BY-SA 3.0 via Wikimedia Commons.

영국의 Manchester에서 1980년 결성된 Level42의 라인업은 Mark King(베이스, 보컬), Phil Gould(드럼), Boon Gould(기타), 그리고 Mike Lindup(키보드)였다. 1981년에 발매된 셀프타이틀 앨범은 영국 챠트 탑20에 진입하였다. 몇개의 싱글들이 마이너히트를 기록한뒤 1984년 The Sun Goes Down(Living It Up)이 탑10에 진입하는 등 크게 히트하였다. 1985년 발표된 앨범 World Machine은 그룹이 자국에서의 인기를 넘어선 전세계적인 인기밴드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 앨범에 수록된 Something About You가 미국챠트에서 7위에 오르는 성과를 올림으로써 그러한 성공이 가능케 되었다. 뒤이은 앨범 Running In Ths Family(1987)에서는 그들의 최고 명곡이라 할 수 있는 Lessons In Love가 영국챠트 1위에 오르게된다. 1988년 Staring At The Sun의 발매직전인 1987년 말 Gould 형제가 그룹을 떠났다. 그들의 빈 자리는 키타리스트 Alan Murphy와 드러머 Gary Husband가 메웠다. 아쉽게도 Murphy는 AIDS와 관련된 질병으로 1989년 세상을 떠나게 된다. 이후 키타리스트는 꽤 알려진 휴전 키타리스트 Alan Holdsworth가 맡게 되었다. Level42는 그들이 집중적으로 활동하였던 시기탓에 흔히 뉴웨이브 계열로 인식되기도 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Shakatak 등과 함께 영국의 째즈-훵크(jazz-funk)의 계보를 잇는 가장 성공적인 밴드 중 하나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디스코그래피

1981 Level 42 Polydor
1981 Strategy Elite
1982 Pursuit of Accidents Polydor
1983 True Colours Polydor
1983 Standing in the Light Polydor
1985 Physical Presence, Pt. 1 [live] Polydor
1985 A Physical Presence [live] Polygram
1985 Physical Presence, Pt. 2 [live] Polydor
1985 World Machine Polydor
1987 Running in the Family Polydor
1988 Staring at the Sun Polydor
1991 Guaranteed RCA
1995 Forever Now [Resurgent] Griffin Music
1995 Forever Now [BMG International] BMG
1996 Live at Wembley World Famous
1998 Remixes Polygram
1998 Turn It On Polygram

링크

Official Site
Forever Now
Fan Page
Level42 Links
Mark King의 베이스플레이에 관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