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70년대

Ganja & Hess

Ganja & Hess.jpg
Ganja & Hess” by Amazon.com. Licensed under Wikipedia.

이 작품은 이른바 Blaxploitation Film 의 절정기에 만들어진 걸작으로 간주되고 있다. Blaxploitation 에 대해 좀 지루한 설명이 필요한데 이 단어는 ‘흑인(Black)’과 ‘착취(Exploitation)’의 합성어이다. 다만 흑인을 착취하는 필름이라는 의미는 아니고 ‘과도한 섹스씬이나 폭력씬 등으로 흥행을 노리는’ 장르라는 의미의 Exploitation Film 중에서도 흑인관객을 주로 타겟으로 삼는 영화가 바로 Blaxploitation Film 인 것이다. 이렇게 철저히 마이너적 감성으로 만들어진 터라 크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뒤늦게 퀀틴타란티노 등에 의해 재조명되기도 했다.

Hess Green 박사는 저명하고 부유한 인류학자이다. 그는 George Meda 라는 새 조수를 고용하게 된다. George 는 어느 날 술에 취한 채 Hess 를 칼로 찌르고 권총으로 자신의 목숨을 끊는다. 하지만 피를 마시는 아프리카의 멸종한 종족인 Myrthia – 이런 종족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는 모르겠다 – 의 칼에 찔린 Hess 는 오히려 불멸의 삶을 얻게 되지만 피에 굶주린 일종의 뱀파이어가 되고 만다. 이후 그 앞에 George 의 아름다운 아내 Ganja Meda 가 등장한다. 둘은 사랑에 빠져 결혼하지만 Ganja 역시 Myrthia 의 저주에 걸리고 만다.

배우이자 소설가, 극작가인 Bill Gunn 은 형편없는 예산으로 뱀파이어 영화를 만들어야만 했고 그는 뻔한 뱀파이어 영화대신 아프리칸-아메리칸 문화의 메타포가 예리하게 새겨진 이 초현실주의적인 영화를 만들어냈다. 당초 길이에서 뭉텅이로 잘려나가 83분이라는 짧은 러닝타임이라서 그런지 극의 진행은 가끔씩 빠르다 못해 어이없는 전개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런 결점은 비전형적이면서도 재기 넘치는 에피소드를 통해 상쇄되고 있다. 이보다 더 엄청난 비용을 들이면서도 사람을 어이없게 만드는 영화가 얼마나 많은가!

상징이나 메타포 – 이 영화에서 피는 곧 아프리칸-아메리칸의 뿌리, 즉 아프리카로의 회귀를 의미한다(고들 한다) – 에 대해서 한마디 하자면 결국 그런 것들은 우선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고나서야 찾을 것들이다. 이야기가 없는 영화들이 관객들을 혼란시키는 상징과 메타포로 떡칠을 하고 아트 필름으로 둔갑하는 경우도 많음을 부인할 수 없다. 반면 이 영화의 미덕은 장르 영화의 교묘한 비틀기로 우선 이야기 면에서 관객을 사로잡고 있다. 상징이나 메타포는 그 후 비평가의 몫일 것이다. 우리는 이런 재기 넘치는 유사한 작품을 한참 후에 남미의 ‘엘마리아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무튼 이 영화는 온갖 난도질에다가 제목마저 Double Possession, Blood Couple, Black Vampire 등 질 낮은 수준으로 교체되어 개봉되곤 하였다고 하니 보통 고생한 작품이 아니다.

Obsession

이 영화는 제목 자체가 일종의 눈속임이다. 브라이언드팔머의 1976년작인 이 영화는 사랑하는 아내와 귀여운 딸이 유괴되어 불의의 사고로 잃게 된 한 부동산업자의 과거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묘사하며 일종의 심리극으로 전개된다. 그러나 영화는 어느 한 순간 초자연적인 장르로 노선전환을 하는 가 싶더니 종국에는 치밀한 음모에 주인공이 희생된 범죄 미스터리로 막을 내린다. 영화의 플롯 자체가 어느 노선으로 향하여도 어느 정도 개연성이 있게끔 신축성이 있는지라 결말을 어떻게 꾸며도 나름대로 재밌었을 영화였다. 하지만 “히치콕의 인정받지 못한 아들”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가지고 있는 감독답게 히치콕의 명작 ‘버티고’의 플롯을 고스란히 베껴왔다는 비난을 받은 – 심지어 음악까지도 ‘버티고’의 음악을 맡았던 버나드 허먼이 맡았다고 한다 – 영화이기도 하다. 다행히도(?) 개인적으로는 ‘버티고’의 스토리가 기억나지 않은 덕에 영화 그 자체를 즐길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었다. 미국과 이탈리아를 오가는 로케이션, 조연들의 호연, 깔끔하게 처리된 음악, 서스펜스를 몰고 가는 연출력 등이 나름 매력 포인트이고 분위기로는 도널드서덜랜드 주연의 ‘Don’t Look Now’가 떠올랐고, 영화의 여러 상징과 설정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Old Boy’, 그리고 범인의 설정에서는 패트릭스웨이즈 주연의 ‘Ghost’ 가 떠올랐다. 흥행 면에서는 같은 해 개봉된 드팔머의 또 다른 작품 Carrie 에 훨씬 못 미쳤다.

The Jerk

스티브 마틴은 찰리 채플린이 아니다. 우디 알렌도 아니다. 그에게서 찰리 채플린 식의 사회비판 정신과 페이소스를 기대하면 곤란하다. 또한 우디 알렌 식의 도시우화도 기대하면 안 된다(물론 직접 시나리오 작업까지 참여한 L.A. Story에서 이런 가능성을 보여주긴 하지만 그의 주전공은 아니다). 그는 그보다는 차라리 부조리한 상황설정을 통해 휘발성의 웃음을 선사하는 – 때로는 어이없기까지 한 – 개그맨에 가깝다. 일부 평자들은 이런 유의 웃음을 깊이가 없다며 비판하지만 사람들을 웃기는 것이 코미디언의 본분이라는 정의에 비추어 본다면 그가 가장 재능 있는 코미디언중 하나라는 것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The Jerk 는 그런 스티브 마틴의 매력이 잘 배어나오는 코미디다. 가난한 흑인 소작인의 집안에서 자라나 자신이 흑인이 아니라는 사실도 모르고 살아온(!) Navin R. Johnson (Steve Martin)은 어느 날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소리에 영감을 얻어 집을 떠나 도시로 간다. 우연히 얻은 일자리는 주유소 직원. 이 주유소에서 그는 우연히 안경이 흘러내리는 것을 불평하는 손님의 안경에 작은 장치를 달아 불편을 없애준다. 이후 연쇄살인자에게 쫓기고, 새로 얻은 직장인 서커스단에서 만난 스턴트우먼에게 성적학대(?)를 받고, 마침내 아름다운 미용사와 사랑에 빠지게 되지만 어쩔 수 없는 가난 때문에 사랑하는 여인을 떠나보낸다. 그 와중에 네이빈이 만들어준 안경으로 특허를 내어 성공한 손님이 그를 찾아 엄청난 수익금을 안겨줌으로써 일약 백만장자가 된다.

섹스가 무엇인지도 몰라 첫경험을 가족들에게 자랑하기까지 하는 멍청이 네이빈이 겪는 좌충우돌 인생사는 한참 후에 로버트 제메키스에 의해 만들어진 포레스트검프를 연상케 한다(물론 각각의 작품이 함의하는 메시지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다). 또한 확실히 짐캐리 등이 주연한 덤앤더머는 스티브 마틴이 창조한 이 바보 캐릭터의 영향권 아래 있다(짐 캐리의 초기 캐릭터들은 스티브 마틴을 그대로 답습하였다). 동시대에서 그의 연기스타일과 비교될 수 있는 이는 몬티파이튼의 친구들, 특히 존 클리스를 들 수 있다.

스티브 마틴이나 그의 작품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비록 앞서의 두 위대한 코미디언의 그것에 미치지 못할지 모르지만 우리가 스티브 마틴에게 기대하고 있는 것에 대해 확실히 기대에 충족시킨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그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뛰어난 연기자이다. 더구나 연기인생 중반기 이후부터는 출연작의 시나리오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작가로서의 능력도 증명하였다.

Young Frankenstein

패러디의 천재 멜브룩스가 1931년 제작된 공포영화의 걸작 Frankenstein 을 리메이크했다. 그리고 이 작품도 걸작이 되었다. 선조의 성을 물려받게 된 Dr. Frederick Frankenstein(Gene Wilder)은 세계적인 과학자이면서도 그의 할아버지가 시도했던 시체 되살리기 실험의 재개를 단연코 거부한다. 성에는 어딘가 괴기스러운 하녀 Inga 와 하인 Igor가 기다리고 있다. 끓어오르는 호기심을 억누르지 못하여 결국 프랑켄슈타인 박사는 그의 할아버지가 시도했던 신의 영역으로 도전을 재개하기로 한다. 멍청한 하인 이고르(정말 골 때리게 웃긴다)가 뇌를 잘못 가져오는 바람에 살아난 시체는 엄청난 육체적 능력에 걸맞지 않는 멍청이로 재탄생해야만 했다(갑자기 아놀드 슈왈츠제네거가 생각나). 그런 그에게 프랑켄슈타인 박사는 탭댄스라도 가르쳐보려 하지만 사람들은 그런 그에게 의혹의 눈길을 거두지 않는다. 멜브룩스가 만든 또 다른 작품 Blazing Saddles 와 함께 그의 감독이력에 길이 남을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Gene Wilder 가 공동집필하였다.

Phantom of the Paradise

Phantom of the Paradise movie poster.jpg
Phantom of the Paradise movie poster“. Via Wikipedia.

Brian De Palma 는 Carrie, Scarface, Dressed To Kill 과 같은 공포/스릴러/액션 분야에서 명성을 쌓았지만 가끔 Home Movies 와 같은 어처구니없는(그러나 배꼽 빠지게 웃긴) 코미디를 만들기도 했고 이 작품과 같이 지극히 컬트스러운 락뮤지컬을 만들기도 했다. <컬트>라는 단어가 유행하게 만든 The Rocky Horror Picture Show 보다 한 해 먼저 만들어졌고, 그 영화의 주요캐릭터로 전대미문의 컬트적 캐릭터인 Dr. Frank N. Furter 와 상당히 유사한 Beef 까지 등장하니만큼 컬트적 요소는 두루 갖추었으나 그 명성은 The Rocky 에 훨씬 미치지 못하니 이야말로 진정한(!) 컬트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음악계의 흥행사 Phil Spector 의 분신이 아닐까 생각되는 Swan 은 어느 날 자신이 직접 작곡한 Winslow 의 노래를 듣고는 그의 차기 프로젝트 Paradise 에 써먹을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그는 Winslow 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는 대신 그의 악보를 훔치고 그를 감옥에 처넣어버린다. 앙심을 품고 감옥을 탈출한 Winslow 가 Swan 의 레코딩을 방해하려 하지만 오히려 사고로 그의 얼굴만 망신창이가 된다. 추한 얼굴을 가리기 위해 가면을 쓰고 Swan 을 찾아가는데 Swan 은 감언이설로 그를 속여 노예계약이나 다름없는 계약으로 그를 옭아맨다. 그리고 Winslow 가 맘에 들어 하던 여가수 Phoenix 가 노래를 하게 하겠다는 약속마저 저버리고 호들갑스러운 글램락 가수 Beef 가 노래를 부르게 한다. 이를 안 Winslow 의 끔찍한 복수가 시작되고 이어 Swan 의 정체가 서서히 드러나게 된다.

대중음악계의 이면을 소재로 한 에피소드가 파우스트, 오페라의 유령 등의 에피소드와 결합되면서 좌충우돌의 컬트적 락뮤지컬로 태어났다. 영화속의 락밴드 The Juicy Fruits 나 Phoenix, Winslow 등이 들려주는 락넘버가 시원시원하다. Beef 역의 Gerritt Graham 은 Palma 의 초기작에 자주 등장하였고 후에 1979년 그의 또 다른 컬트 무비 Home Movies에서 완고하고 어이없는 청년 역으로 열연하였다.

Carrie

소름끼치는 틴에이저 공포물 Carrie 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펄프픽션의 대가 Stephen King 의 원작을 바탕으로 Brian De Palma 가 만든 작품이다. 펄프픽션의 대가와 B급 영화의 귀재가 만났으니 그 결과물은 당연히 기대를 충족시켜줄만한 양질의 공포영화로 귀결되었다. 거기에 Sissy Spacek 의 소름끼치는 연기는 영화의 시너지를 극대화시켰다.

Stephen King 의 자전적 에세이 <유혹하는 글쓰기>에 보면 이 원작의 탄생비화가 소개되고 있다. 애초 King 자신이 너무 진부한 소재라 생각하여 쓰레기통으로 처넣은 스크립트를 아내가 꺼내어보고 좋은 소재라며 격려해주었고 이에 분발하여 장편으로 완성한 것이었다. 또한 캐리의 캐릭터를 구상하는데 도움(?)을 준 이들이 소개되는데 King 은 그의 고교시절 왕따를 당했던 두 소녀를 모델로 하였다고 한다.

사실 개인적으로 다른 공포영화와 마찬가지로 King 역시 희대의 살인자 Ed Gein 을 모델로 하지 않았는가 생각했었다. Ed Gein 은 어릴 적부터 광신적인 기독교도였던 어머니의 틀 안에서 비정상적으로 살아오다 가족들이 모두 죽은 후 여자시체의 살갗으로 옷을 해 입으며 여성이 되고자 했던 그야말로 초엽기적인 인물이었다. 그 인생이 너무나 드라마틱하기에 그의 인생의 파편들이 각각 텍사스전기톱살인사건, 싸이코, 양들의 침묵 등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Carrie 를 보면 Ed Gein 의 경우와 상당히 일치하는 가정환경임을 알 수 있다. Carrie 의 어머니 역시 Ed Gein 의 어머니가 그러했을 것처럼 딸에게 극단적으로 섹스에 대한 혐오감을 강요한다. 이는 결국 Carrie 가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는데 걸림돌 으로 작용하고 왕따의 빌미를 제공하였다. 극단이 또 하나의 극단을 낳게 만든 꼴이 되고 만 것이다. King 에 따르면 그가 모델로 삼았던 바로 그 동급생의 어머니에게서 그러한 종교적 보수성을 느꼈다고 하니 Ed 의 어머니가 극단적이었을 따름으로 상상외로 이러한 꼴통적인 가정환경이 극히 드문 현상은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감탄할만한 점은 초경의 공포과 돼지 피라는 어쩌면 어울리지 않는 두 소재가 ‘빨간 색’이라는 시각적 이미지를 교집합으로 형성하면서 관객들에게 ‘끔찍했던 학창시절’을 상기시키는 극대화된 공포를 경험하게 만드는 연출솜씨이다. Amy Irving, William Katt 등 조연들의 연기도 뛰어나다.

Everything You Always Wanted to Know About Sex, But Were Afraid to Ask

어떨 때는 유태인 음모집단이 유태인의 영악함을 감추기 위해 우디 알렌을 세상에 내보내 유약하고 열등감 많은 유태인 캐릭터를 창조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그는 유난히 편집증적인 동시에 유난히 자신이 유태인임을 강조한다. 즉 그의 영화를 본 관객들은 “유태인은 똑똑하긴 하지만 콤플렉스 덩어리에 배포도 없구나” 라고 생각해버릴 것이고, 이는 유태인 음모집단에게 더없이 좋은 가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사실 우디 알렌의 필르모그래피에서 일관되게 관통하는 주제는 뉴욕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같은 유태인이었던 프로이드와 마찬가지로) 섹스다. 온통 혼란스럽고 어느 것 하나 맘먹은대로 되지 않는 이 험난한 세상에서 우디 알렌, 또는 그의 페르소나가 택한 안식처는 섹스(한 가지 덧붙이자면 째즈 정도)인 것이다. 그리고 “당신이 섹스에 대해 언제나 알고 싶어 했지만 묻기는 두려웠던 모든 것”이라는 긴 이름의 이 작품에서 우디는 섹스를 조리고, 볶고, 굽고, 끓이고, 쪄서 관객들에게 선사한다. 다양한 코스의 섹스 요리라 할 수 있다. 어떤 요리가 맛있는지는 각자의 취향에 달려있다.

일곱 개의 에피소드로 장식된 이 작품의 첫 번째 에피소드는 왕비를 사랑하는 광대의 이야기다. 욕정에 사로잡힌 광대가 감히 왕비의 침실로 숨어들어 사랑의 묘약으로 왕비를 유혹하지만 하필 왕이 왕비를 찾아오는 바람에 곤란을 겪는다는 에피소드이다. 이후 여러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등장하는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에피소드는 진와일더가 양과 사랑에 빠진 의사 역을 맡은 에피소드다. 압권은 양과 사랑에 빠졌다는 농부의 말에 황당해하는 진와일더의 표정연기인데 친구들과 이 장면을 보고 약 3분 정도 정신없이 웃었다.

요컨대 ‘섹스’를 기본재료로 한 일종의 코스요리인 이 작품은 우리가 무의식중에 불편해하던 ‘섹스’라는 소재를 가지고 우디 알렌이 솜씨를 발휘해 만들어낸 웰메이드 코미디이다. 어쨌든 우리는 일상적으로 섹스에 노출되어 있다. 하드코어이든 은밀한 은유이든 간에 말이다. 아무리 ‘도덕적’인 사회가‘원죄’를 들먹이며 ‘섹스’를 억누르려 해도 그것은 마치 풍선처럼 어느 방향으로든 튀어나오고 마는 생물의 엣센스 중 하나이다(안 그러면 인류는 멸망하겠지).이처럼 “우리가 좋아하면서도 공유하기 두려워하는 섹스”를 주제로한 이 영화의 미덕은“나름” 고급코미디임을 내세워 도덕의 뭇매를 맞지 않고서도 처음 대하는 이성(異姓)과도 대화주제로 삼을 수 있을 정도의 중용을 걷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그나저나 우디 알렌은 프리메이슨일까?

Silver Streak

Jim Carrey 가 90년대를 대표하는 코미디언이라면 Gen Wilder 는 70년대를 대표하는 코미디언으로 자리매김하여도 어색하지 않다. 멜브룩스, 우디알렌 등 당대의 코미디 대가들과 함께 작품 활동을 하였던 그는 상업성과 작품성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점에서 Jim Carrey, 또는 다른 이전/이후의 코미디언보다도 행운아 내지는 실력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물론 Jim Carrey 도 생각 없는 코미디 몇 편을 찍은 후에는 The Truman Show, Man On The Moon 등을 통해 품격을 높이고 있지만). 여하튼 이 곱슬머리에 엄청 큰 코, 그리고 토끼눈처럼 동그란 파란 눈동자의 이 사나이가 1976년 골라잡은 작품은 Love Story 의 감독 Arthur Hiller 가 메가폰을 잡은 코미디 블록버스터 Silver Streak 이다. 단지 지루해지고 싶어서 비행기 대신 기차를 골라잡은 George Caldwell(Gene Wilder)은 뜻하지 않게 Hilly Burns(Jill Clayburgh)과 꿈같은 하룻밤을 보내게 되는 행운을 거머쥐게 된다. 그러나 한참 무드가 무르익을 무렵 창밖으로 떨어지는 시체를 목격하게 되면서 그의 ‘지루했으면 했던’ 기차여행은 비행기 여행이 비할 바가 안 되는 익사이팅한 모험으로 변신한다. 같은 기차에서 무려 세 번이나 밖으로 떨어지는 불운을 겪지만 굴하지 않고 ‘악의 세력’을 몰아내는 그의 모습은 제임스 본드가 지닌 불굴의 정신을 연상시킨다. 적당한 미스테리, 자못 심각한 스턴트액션, 그리고 진와일더 특유의 유머코드 등이 잘 결합되어 시간가는 것을 별로 못 느끼게 만드는 웰메이드 액션스릴러코미디물이다.

Hearts And Minds

영화는 태생부터 꿈의 공장인 동시에 일종의 프로파간다였다. 아무리 스스로를 정치적으로 중립적이라고 주장하여도 그것은 그 주장 자체가 또 하나의 프로파간다가 되고 마는 순환 고리에 걸려들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레닌을 비롯한 사회주의 혁명가들은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었고 영화를 신생 경제/정치체제의 선전매체로 적극 활용하였다. 나찌나 자본주의자들 역시 크게 다를 바 없었는데 특히 2차 대전이나 베트남 전쟁과 같은 국가의 사활이 걸린 사안에 대한 국가이데올로기의 선전은 때로 이성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집단최면극에 가까울 정도였다. 그러한 면에서 영화라는 매체는 칼이다. 화려한 칼춤으로 대중을 현혹시키기도 하고 서투른 칼부림으로 대중을 협박하기도 한다. 칼을 쥐고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요리사가 되기도 하고 살인자가 되기도 한다. 또는 요리사든 살인자든 솜씨 좋게 만들어진 날카로운 칼을 사용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실력이 차이가 나게 된다. 이 작품은 분명히 좋은 칼을 가진 요리사에 속하는 작품이다. 미국 전체가 광기에 휩싸여 명분 없는 베트남 전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던 1970년대 감독과 시나리오를 담당한 Peter Davis 를 비롯한 제작진들은 사이공 거리에서부터 백악관의 참전군인 파티, 심지어 군인들과 베트남 여인들의 매매춘 장면에 이르기까지 베트남 전쟁으로부터 파생되는 갖가지 풍경들을 소상히 담아낸다. 미시적인 개인사에서부터 거시적인 국가정책에 이르기까지 베트남전을 둘러싼 서로의 입장들, 모순된 이데올로기, 뒤늦은 후회의 모습 등을 거침없이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적절하게 편집된 미식축구 장면과 미당국의 선전필름 들은 전쟁의 발발원인과 전개과정을 잘 설명해주는 양념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이 공산주의의 바다로 둘러싸일 것이라고 주장하던 미행정부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탄생한 미국이 왜 우리의 독립을 저지하느냐고 항변하는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의 주장이 팽팽한 긴장을 유지하는 가운데 펼쳐지는 각종 군상들의 풍경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그러한 모습들이 30여년이 흐른 지금 이라크전을 둘러싸고 재탕되고 있다는 사실이 씁쓸할 따름이다.

The Omega Man

The-Omega-Man-Poster.jpg
The-Omega-Man-Poster” by allposters. Licensed under Wikipedia.

소련과 중국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 그 사이에 낀(?) 미국이 엉뚱하게 세균병기의 공격을 받게 된다. 미국을 비롯한 지구는 오염되고 사람들은 호흡마비 등의 증상을 보이며 죽어간다. 인류의 멸망의 순간이 다가온 것이다. Robert Neville 박사(Charlton Heston)는 자신이 개발하여 아직 실험단계에 있던 백신을 맞고 살아나지만 살아남은 어떤 이들은 심하게 오염되어 낮에는 잠을 자고 어둠을 틈타 활거 하는 변종인간, 일종의 뱀파이어가 되고 만다. 이들 무리의 우두머리 Matthias (Anthony Zerbe)는 인류가 도구의 사용으로 멸망을 초래하였음을 지적하며 반달리즘적인 파괴행위를 일삼는다. 한편으로 Neville을 그러한 타락한 문명의 상징으로 지목하며 그를 없애려 한다. 낮에는 거리를 활보하다 밤에 자신만의 은둔처로 숨어버리는 Neville 의 외로운 삶은 우연히 만난 정상적인 여인 Lisa과 그 친구들을 통해 구원받는다. 하지만 Matthias 일행의 집요한 폭력행위는 근절되지 않고 오히려 Lisa 일행까지 위협을 당한다. The Quiet Earth(1985) 와 Dawn Of The Dead(1978) 를 교묘히 섞어놓은 듯한 – 그런데 실제로는 본 작품이 가장 먼저 만들어져(1971년) 그들이 어떤 의미에서는 후계작이라 할 수도 있겠다 ― 독특한 분위기 SF 인 이 작품은 인류가 냉전과 핵의 공포에 시달리고 있던 시점에 제작되었다는 시대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화 초반 텅빈 LA 거리는 ‘혹성탈출’에서의 망가진 자유의 여신상 만큼이나 – 이미 한차례 인류멸망의 좌절을 ‘혹성탈출(1968)’에서 경험한 바 있는 Charlton Heston 의 기용은 적절한 캐스팅이라 할 수 있다 – 충격적이었고 이 후 이 씬은 The Quiet Earth, 28Days Later 등에서 답습된다. 현재 Will Smith 를 내세워 영화의 원작 제목인 I Am Legend 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가 개봉예정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