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1980

Let’s Get Serious

JermaineJackson2007(cropped).jpg
JermaineJackson2007(cropped)” by JosephJackson2007.jpg: Reflexivity Capital Group[1] of picasa.google.com
derivative work: Solid State Survivor (talk) – JosephJackson2007.jpg. Licensed under CC BY-SA 3.0 via Wikimedia Commons.

1980년 5월 17일 Jermaine Jackson의 “Let’s Get Serious”가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올라 6주간 머문다. 핫100 차트에는 같은 해 7월 12일 9위까지 오른다. Stevie Wonder와 Lee Garrett이 작곡한 이 곡은 The Jackson 5의 멤버였던 이 가수의 최대 히트곡으로 남게 된다. Jermaine Jackson은 아직 The Jackson 5의 멤버로 남아 있었던 1972년 처음으로 솔로아티스트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때 the Shep & The Limeliters 의 클래식 “Daddy’s Home”을 커버해서 1973년 3월 R&B차트 3위, 팝차트 9위까지 오르는 성적을 거두었다. 그의 형제들이 1975년 모타운을 떠나지만 모타운의 설립자 Berry Gordy의 딸과 결혼한 Jackson은 레이블에 남아서 세 장의 앨범들을 1976년부터 연차별로 발표한다. 1970년대 말 Jackson은 같은 레이블에서 활동하는 친구 Stevie Wonder에게 도움을 부탁했고 Wonder는 그의 다섯 번째 앨범을 위해 세 개의 노래를 작곡했다. 특히 “Let’s Get Serious”는 어린 시절 학우인 Lee Garrett과 함께 썼다. 곡이 완성되자 Wonder는 Jackson과 함께 1979년 여름 스튜디오에 들어가 거의 7개월간에 걸쳐 그가 작곡한 “You’re Supposed To Keep Your Love For Me”, “Where Are You Now”, 그리고 “Let’s Get Serious”를 녹음했다. 타이틀곡의 인기에 힘입어 같은 이름의 앨범 “Let’s Get Serious”는 빌보드 R&B 앨범 차트 1위에 5주간 머문다. 탑200 차트에는 6위까지 오른다. 그 해말 “Let’s Get Serious”는 빌보드 잡지가 선정하는 ‘1980년 최고의 R&B 싱글’에 선정되었다. 그의 동생 Michael의 “Rock With You”는 2위에 머물렀다.

뮤직비디오

Chaz Jankel – Ai No Corrida

뮤직비디오 보기

뮤비 참 아스트랄하네~

Quincy Jones는 다른 아티스트들을 위해 많은 노래들을 작곡하고 프로듀스했지만, 이 곡은 자신이 직접 연주한 곡이다. 이 이상한 제목은 일본영화 “감각의 제국(In The Realm Of The Senses)”에서 따온 것인데, 영화의 오리지날 타이틀이다. Jones가 물론 뛰어난 작곡실력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이 곡은 그의 작품이 아니다. 이 곡은 Ian Dury and the Blockheads와 함께 일하기도 했던 영국의 Funk/New Wave 뮤지션 Chaz Jankel이 동료 Kenny Young가 함께 만들어 1980년 셀프타이틀 앨범의 타이틀곡으로 내놓은 곡이다. 이 곡에서 백업 싱어는 Patti Austin, 일렉트릭 피아노 연주는 Herbie Hancock의 솜씨이며, 리드 싱어는 Dune이란 이름의 아티스트다.

Ai No Corrida

Quincy Jones는 다른 아티스트들을 위해 많은 노래들을 작곡하고 프로듀스했지만, 이 곡은 자신이 직접 연주한 곡이다. 이 이상한 제목은 일본영화 “감각의 제국(In The Realm Of The Senses)”에서 따온 것인데, 영화의 오리지날 타이틀이다. Jones가 물론 뛰어난 작곡실력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이 곡은 그의 작품이 아니다. 이 곡은 Ian Dury and the Blockheads와 함께 일하기도 했던 영국의 Funk/New Wave 뮤지션 Chaz Jankel이 동료 Kenny Young가 함께 만들어 1980년 셀프타이틀 앨범의 타이틀곡으로 내놓은 곡이다. 이 곡에서 백업 싱어는 Patti Austin, 일렉트릭 피아노 연주는 Herbie Hancock의 솜씨이며, 리드 싱어는 Dune이란 이름의 아티스트다. 오시마 나기사가 감독한 1976년 작 “감각의 제국”은 일본과 프랑스의 합작품이다. 노래 제목은 앞서 말했듯이, 혼란의 시기에 사랑과 육욕에 집착하는 연인의 비극적인 최후를 그린 이 영화의 일본어 타이틀 “愛のコリーダ”에서 따왔다. コリーダ는 스페인어로 투우(鬪牛)를 의미한다. 따라서 타이틀의 의미는 “사랑의 투우”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영어권 사람들은 본뜻과 상관없이 들리는 대로 “ain’t no corridor”, 즉 ‘출구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그들은 이 제목을 ‘달아나지 마라(Don’t run away.)’는 의미로 이해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the Realm of the Senses.jpg

In the Realm of the Senses” by The poster art can or could be obtained from Argos Films.. Licensed under Fair use via Wikipedia.

한편 Chaz 본인의 설명은 이렇다.

“그 제목은 영어권에서는 ‘감각의 제국’이라 알려진 한 영화의 일본어 타이틀이다. 영화는 여관주인과 사랑에 빠진 한 하녀의 실화에 근거하고 있다. 그들은 INXS의 리드싱어 마이클 허친스를 죽음으로 몰고 간 가사상태로 몰고 가는 음란행위에 몰두해있었다. 허친스처럼 여관주인은 섹스 하던 중에 죽었다. 하녀는 그의 성기를 잘라, 주머니에 넣은 채 경찰이 그녀를 잡을 때까지 완전히 넋이 나가 거리를 헤맸다. 감옥에 있는 동안, 그녀는 일종의 페미스트적 순교자의 표상이 되었다. 1970년대 후반, 내 머릿속엔 이 멜로디가 들어 있었는데 친구 Pete Van-Hooke가 내게 Ken Young을 소개시켜줬다. 그는 프랑스에서 매년 열리는 음악 컨퍼런스 MIDEM에 날 불렀다. 그리고서는 흥분해서 “Chaz 그 멜로디에 멋진 생각이 떠올랐어! 아이노코리다!” 난 그가 무슨 소리를 하는지 몰라서 바보같이 대답했다. “아이노후?(I know who?)” 그는 스토리를 설명해주었는데, 솔직히 난 좀 그걸 쓰는 게 불편했다. 난 그냥 그가 어떤 남자 녀석을 그리워하는 소녀,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대해 써줬으면 했을 뿐이다. 당초 나의 생각과 동떨어져 내 버전은 트랙의 처음에 흥얼거림이 있었는데, 그건 어린 시절 내가 런던 교외에서 들을 수 있는 도로의 윙윙거림과 같은, 자는 중에 듣곤 했던 소리와 같았다. 그 아이디어는 그 이야기에 대해 내가 꿈꿨던 것이다. 그것을 통해 발견하려 했던 것은 아니고.[웃음] 난 언제나 그 곡이 엄청 성공할거라는 것을 알았다. 퀸시존스의 비서가 나에게 전화해 존스가 그 곡을 녹음해도 되냐고 물었을 때, 난 거의 의자에서 떨어질 뻔 했지만, 누군가 그 곡을 내 손에서 가져갈 것이란 생각은 늘 가지고 있었다.”[원문 보기]

결국 Chaz의 설명에 따르면 이곡의 제목을 Ai No Corrida로 정한 이는 공동작곡가 Kenny Young 인 셈이다. Chaz가 당초 10대의 가벼운 사랑이야기를 가사로 하려던 것과 달리 Kenny는 연인을 죽음으로까지 몰고 간 병적인 사랑을 다룬 영화의 제목을 사용하여 곡이 더욱 신비로워지게 하는데 기여한 셈이다(듣는 이들은 제목의 의미를 잘 몰랐지만 어쨌든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각각 의미를 부여했을 테니까). 어쨌든 이 뛰어난 멜로디를 가진 명곡은 이런 사연을 가지고 Chaz와 Kenny의 손을 거쳐 Quincy Jones에 의해 좀 더 남성적인 버전으로 재창조되어 오늘날 최고의 디스코 명곡의 하나로 남게 되었다.

Chaz Jankel 버전
Quincy Jones 버전

참고한 곳들
caution, hot
songfacts.com
wikipedia.org
MUSIC BLOG OF SALTYKA AND HIS FRIENDS

Hey 19

Hey Nineteen cover.jpg
Hey Nineteen cover” by http://rgcred.files.wordpress.com/2009/02/steely-dan-hey.jpg. Licensed under Wikipedia.

서울에는 가을임을 실감나게 하는 가랑비가 내렸다. 아무래도 이런 가을에는 빠른 템포의 노래보다는 느린 템포, 장르도 조금 구성진(청승맞은?) 쪽으로 듣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Steely Dan이라는 걸출한 밴드의 음악이 딱 이런 취향에 맞는 것 같아 소개한다. ‘째즈락’이라는 장르로 구분되곤 하는 이 밴드는 블루스에 기반을 두고 째즈적 요소가 맛깔스럽게 섞인 음악을 선보였는데, 생각해보면 이와 유사한 음악을 했던 밴드를 찾기 힘들 정도로 범접할 수 없는 음악적 성취를 이룬 밴드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특히 싱어 Donald Fagen의 독특한 음색과 가창력을 보면 목소리 그 자체가 또 하나의 악기라는 표현이 더할 나위 없이 잘 어울리는 분이 아닌가 싶다. Hey nineteen(가사 보기) 은 그들의 대표적인 히트곡 중 하나인데, 소개하는 비디오는 실황공연에서만 즐길 수 있는 애드립을 제대로 연출해낸 비디오인 것 같다.

뮤직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