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rry Up Tomorrow

The Weeknd's sweaty face is on the right, tilted down and left, while screaming with eyes closed. The words "Hurry Up Tomorrow" are placed at the bottom-left of the cover, with the letters in "Tomorrow" being progressively blurred at the end. The album's tracklist, consisting of 22 tracks, sits vertically to the left of the cover.
By RIFF Magazine, Fair use, Link

The Weeknd의 Hurry Up Tomorrow1를 듣고 있다. 늘 그렇듯이 매끈하게 잘 빠진 신스웨이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여태 몰랐는데 이번 앨범은 그의 전작 After Hours 그리고 Dawn FM과 느슨하게 이어지는 트릴로지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앨범의 길이가 길다. 86분 14초다. 어제 소개한 Ramones의 앨범 길이가 29분 4초이니 2.93배 길다. 본명이 Abel Makkonen Tesfaye인 그는 The Weeknd라는 무대명도 이번 앨범을 끝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했다한다. 그런 대미를 장식하기 위해 앨범이 이렇게 길어진 것이 아닌가싶다.

그래서 그런지 비평가들의 평도 대체로 호의적이지만, 평점을 깎은 비평가들의 불만의 1번은 ‘앨범이 너무 길다’는 점이다.2 비평가조차도 이제는 이 정도의 시간을 한 앨범의 감상에 쏟을 만큼의 인내력은 없는가보다.(“대서사시적”이라고 좋아하는 평자도 있다고 한다) 혹평 중에는 ‘지나치게 자기 연민이 심하다’는 의견도 있다고 한다.3 그래서 The Weeknd라는 페르소나를 끝내는 것도 마케팅 전략일 것이라고 한다. 두고 볼일이지만, 내 생각에는 팬들이 편하게 생각하면 될 것 같다. 프린스도 아주 요상한 기호로 자기 무대명을 바꿨지만 결국 이름은 대중이 프린스로 택했으니 말이다.

여하튼 80년대 신스팝의 키드 위켄드인지라 이번 앨범에도 예의 80년대 팝의 짙은 그림자가 앨범 곳곳에 녹아있다. 일단 Big Sleep(험프리 보가트의 동명의 영화가 생각이 난다.) 등의 트랙에서 대표적인 70~80 댄스팝의 아버지 조르지오모르더(Giorgio Moroder)를 초빙하여 함께 음악을 만들었다. 비평가들은 여러 곡에서 마이클잭슨프린4 의 여운이 느껴진다고 말하고 있다. 누가 뭐래도 80년대 팝과 신스웨이브의 적자(嫡子)인 셈이다. 아무튼 몰랐는데 삼부작이라고 하니 한번 각 잡고 After Hours에서부터 이 앨범까지를 연속으로 들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쭉 다 들어봤는데 첫 트랙 Wake Me Up, São Paulo, Niagara Falls 등이 맘에 든다.

  1. 앨범 커버를 두고 이런저런 말이 많았던 모양인데 본인이 스스로 트위터에서 재밌는 셀프디스 드립을 쳤다.
  2. 아예 헤드라인이 Hurry Up Tomorrow Is The Weeknd’s Very, Very Long Goodbye 인 비평도 있다
  3. Cry For Me라는 곡에서는 “in this penthouse prison, I’m alone”라는 가사랄지 Open Hearts라는 곡에서는 All the silver and gold only made my skin cold라는 가사도 있다.
  4. 위켄드 본인 스스로가 Prince의 Purple Rain을 떠오르게 하는 것이 있다고도 밝혔다고 하는데, 특히 올해 5월 동명의 본인이 출연하는 공포 영화가 개봉될 예정이라고 한다. 일단 프린스가 퍼플레인 앨범으로 본인이 출연하는 동명의 영화를 만든 것과 비슷한 흐름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