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1990이후

Opium


KieTheVez라는 스웨덴의 신쓰팝 밴드는 1986년에 처음 결성됐지만, 1994년이 되어서야 첫 정식 스튜디오 앨범을 내놓을 수 있었다. 키보드를 연주하는 Jörgen Falmer, Tomas Amneskog, Per-Henrik Petersson은 10대에 the Pet Shop Boys의 싱글에서 이름을 딴 West End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했고 Yellowstone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몇번의 멤버 교체를 거쳐 보컬 Jesper Palmqvist를 영입하고 마침내 KieTheVez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하게됐다. 1994년 마침내 그들의 정식 음반 Three Empty Words가 발매되었다. 1997년 두번째 앨범 Opium이 발매되었는데 이 앨범에서는 “One Roman Choir”가 클럽 등지에서 인기를 얻었다. 개인적으로는 앨범의 두번째 트랙 “Religion”에게도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지금까지 총 4장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매했는데 이 두번째 앨범이 가장 후한 평가를 받고 있다.

1 Can’t See This 4:26
2 Religion 5:04
3 The End 4:29
4 One Roman Choir 3:54
5 Wait 4:35
6 Erina 3:53
7 Destinies 4:22
8 Happy Today 7:59
9 Holy Water 3:49
10 Seems So Easy 4:30
11 Off The Wall 4:02
12 Make Me 4:48

Nothing Compares 2 U

Nothingcompares2u.jpg
Nothingcompares2u” by Source. Licensed under Wikipedia.

1990년 4월 21일 Sinead O’Connor의 “Nothing Compares 2 U”가 빌보드 핫100차트 정상에 올라 4주간 머물렀다. Prince가 만든 이 곡은 빡빡 깎은 머리 스타일로 유명했던 아일랜드 출신의 이 가수의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그래미 후보로 오르기도 했던 데뷔 앨범 “The Lion And The Cobra”의 성공 이후 Sinead는 1989년 2집 작업에 착수한다. 당시 매니저였던 Fachtna O’Ceallaigh는 Sinead에게 Prince가 만든 발라드 한 곡을 추천했다. 이 곡은 당초에는 The Family라는 Prince의 사이드프로젝트 밴드가 그들의 1985년 셀프타이틀 데뷔 앨범을 위해 녹음했지만 싱글로는 발매되지 않았고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곡이었다. 하지만 1989년 발매된 2집 “I Do Not Want What I Haven’t Got”의 수록곡으로 녹음되었고 1990년 2월 11일 미국에서 싱글로 발매된 “Nothing Compares 2 U”는 그 해 3월 17일 핫100 차트에 63위로 데뷔한 후 불과 5주 만에 정상을 차지하는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뿐만 아니라 O’Connor의 본국 아일랜드를 비롯하여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수많은 국가의 싱글 차트에서도 정상을 차지했다. John Maybury가 감독한 뮤직비디오에서 O’Connor는 눈물을 흘리며 노래를 하는데 당초 이 장면은 의도하지 않았던 것이고 가수가 감정에 북받쳐 눈물을 흘린 것이라고 한다.

뮤직비디오 보기

Easy Money

The Smiths의 기타리스트였던 Johnny Marr가 신곡 Easy Money의 비디오를 발표했다. 이 곡은 워너 뮤직 그룹을 통해 10월 6일 영국, 그리고 10월 7일 전 세계로 발매될 그의 새 앨범 Playland의 수록곡이다. David Barnes가 감독을 맡은 비디오는 Marr가 손님이 별로 없는 펍에서 연주를 하다가 카지노, 편의점 등을 배회하는 씬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보기

夏の日のドラマ(여름 날의 드라마)

夏の日のドラマ(여름 날의 드라마)는 일본의 국민 밴드 Southern All Stars가 1999년 3월 25일 발매한 싱글 イエローマン 〜星の王子様〜(엘로우맨 어린 왕자)(라이브 공연 보기)의 B면 수록곡이다. 리드 싱어인 쿠와타 케이스케(桑田佳祐)가 작사/작곡 했지만 노래는 드러머인 마츠다 히로시(松田弘)가 불렀다. 밴드의 싱글에서 쿠와타 이외의 사람이 부른 곡이 실린 것은 처음이었다. 멜로디는 중간 템포에 청량감을 느끼게 하는 요소가 잘 배치된 멜로디로 포장되어 있으며 가사는 여름의 풍경과 그 안에서 노니는 연인의 마음을 담고 있다.

노래 듣기
가사 보기

Unbelievable

Unbelievable (EMF song).jpg
Unbelievable (EMF song)“. Via Wikipedia.

Jesus Jones 등과 함께 90년대 초반의 얼터너티브 댄스 씬을 선도했던 영국밴드 EMF가 그들의 데뷔 앨범 Schubert Dip에 수록하여 발표한 “Unbelievable”이 1991년 7월 20일 빌보드 핫100 차트 1위에 올라 1주간 머문다. 영국에서는 이미 1990년 싱글로 발매되어 그해 12월 영국 싱글 차트 3위까지 오른 적이 있었다. 이 곡은 미국의 코미디언 Andrew “Dice” Clay의 발언 샘플과 – 예를 들면 노래가 시작할 때 들리는 “오~!”하는 감탄사나 곡 중간에 등장하는 “you’re unbelievable”이라는 말 등 – The Soul Searcher의 펑크(funk) 클래식 “Ashley’s Roachclip”의 드럼 샘플 등을 재치 있게 활용하여 만들어졌다.

밴드는 프로페셔널의 길을 걷기로 한 이후 단 네 번의 공연만을 가진 채 EMI와 계약을 체결하는 행운을 얻게 된다. 이니셜로 구성된 듯 한 밴드의 이름은 “Epson Mad Funkers”의 이니셜이라 알려져 있는데, 한편으로는 “Ecstasy Mother F***ker”의 이니셜이라는 주장도 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후자의 주장이 꽤 설득력있는 것이 이 곡 “Unbelievable”의 싱글 B면에 실린 EMF라는 곡에 – 개인적으로 아주 좋아하는 곡이다 – 바로 “E! Ecstasy! M! M***ker, m***ker! F! From us to you….”라는 가사가 나오기 때문이다.

“Unbelievable”은 또 다른 보컬 샘플에 “what the f**k was that?”이라는 가사가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명확하게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검열당하지 않은 채 오늘날까지 전파를 타고 있다. 1991년 4월 13일 87위로 빌보드 차트에 등장한 이 곡은 14주 후 정상을 차지한다. EMF는 이 노래이외에도 “I Believe” (#6 UK), “Children” (#19 UK), “Lies” (#19 UK, #18 US Pop)를 차트에 진입시킨다. 밴드는 이후에 두 개의 앨범을 더 낸 후 1995년 해산했다가 2001년 재결합한다. 이번에는 베이스를 맡은 Zac Foley가 약물과용으로 사망하여 다시 해산한다. 그 후 2007년과 2012년 또 재결합했다.

뮤직비디오

World in Motion

“World in Motion“은 영국 신쓰팝 그룹 New Order가 199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할 영국 국가대표 축구팀의 캠페인을 위해 발표한 곡이다. 이 곡은 밴드의 유일한 영국 싱글 차트 1위곡이 되었다. 이 곡은 애초에 “E for England”라 이름붙일 예정이었으나 축구협회가 E가 마약류의 하나인 엑스터시(ecstasy)를 연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거절하여 이름을 바꿨다. 이 곡은 그룹의 초기 히트곡 “True Faith”를 만들 때 함께 일했던 Stephen Hague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곡의 연주는 밴드 멤버 Stephen Morris와 Gillian Gilbert가 Reportage라는 BBC의 시사 프로그램을 위해 만든 주제가와 비슷하다. 노래 후반부의 랩 부분은 자메이카 출신의 영국 선수 John Barnes가 맡았다. Barnes는 선수들 내의 오디션을 통해 몇몇 선수와 함께 곡에 참가자로 선발되었다. 싱글은 1990년 5월 발매되었고 그룹이 팩토리 레코드사에서 발매한 마지막 싱글이 되었다. 2002년 또 다른 월드컵을 위해 이 곡의 싱글이 재발매 되었다.

뮤직비디오

Love Is a Bourgeois Construct

Pet Shop Boys - Electric.png
Pet Shop Boys – Electric” by iTunes Store UK. Licensed under Wikipedia.

요즘 Pet Shop Boys만큼 부지런한 80년대 팝 밴드도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1986년 Please로 데뷔한 이 듀오는 통산 열두 개의 스튜디오 앨범을 냈는데, 특히 2012년과 2013년에는 연속하여 Elysium과 Electric을 발표하는 왕성한 창작욕을 과시했다. 이중 Electric은 “80s Kid”로 자라나 자신의 밴드 Zoot Woman을 이끌기도 하고 Madonna와 작업하는 등 훌륭한 아티스트로 성장한 Stuart Price의 프로듀싱으로 빌보드 차트와 영국 차트 등 각국 차트 상위에 오르는 상업적 성공을 거둔 성공작이 되었다.

“Love Is a Bourgeois Construct”는 이 앨범에서 가장 수려한 곡 중 하나다. 이 곡은 작곡가 Michael Nyman이 17세기 작곡가 Henry Purcell의 곡에 기초하여 만든, 영화 ‘제도사의 계약’에 삽입된 연주곡 Chasing Sheep Is Best Left to Shepherds의 멜로디에 기초하고 있다. “사랑은 부르주아의 구조물이다”라는 재밌는 제목의 이 노래에서 화자는 “사랑은 부르주아의 구조물이다. 당신이 돌아올 때까지 난 부르주아이기를 포기한다.”라고 자신의 불행한 처지를 억지로 합리화하는 재밌는 상황을 연출한다.

앨범의 세 번째 싱글로 발매된 이 곡은 2013년 9월 1일 디지털 다운로드의 형식으로 발매되었고 9월 30일 CD로 발매되었다. CD는 Little Boots, The Penelopes, Dave Audé의 믹스 버전 등과 함께 이전에 발표하지 않았던 B면 곡 “Entschuldigung!”과 “Get It Online”이 함께 수록되어 판매되었다. 차트 성적은 영국 싱글 차트 105위로 신통치 않았지만 비평은 호의적이었다. The Guardian은 이 노래를 2013년의 베스트트랙 중 네 번째 곡으로 선정했다. Slant 매거진은 “2013년의 25개의 베스트 싱글” 중 18위로 선정했다.

뮤직비디오

I Am the Resurrection

Stone Roses I Am the Resurrection.jpg
Stone Roses I Am the Resurrection” by The cover art can be obtained from Silvertone.. Licensed under Wikipedia.

“I Am the Resurrection“은 The Stone Roses의 데뷔 앨범의 영국 버전 가장 마지막 곡이다. 이 곡은 1992년 3월 30일 싱글로 발매되어 영국 싱글 차트 33위까지 올랐다. 곡의 마지막 4분은 연주로 채워져 있는 특이한 구성의 이 곡은 그 종교적인 뉘앙스 때문에[1. “I am the resurrection and I am the life”) 밴드가 5년 후에 발매한 2집 Second Coming에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싱어 Ian Brown은 오히려 이 곡이 反기독교적이라고 증언했다. ”교회의 문에 형광색 페인트로 그 말이 쓰여진 포스트를 본적이 있는데 인상적이었어요. 그래서 가사는 반기독교 적입니다. 사람들이 정상적인 뇌를 가지고 있다면 성경이 얼마나 잘못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때로 사람들은 진정한 의미를 이해한다 할지라도 정신적인 도움을 필요로 할 때도 있죠. 매우 슬프고 아이러닉한 일입니다.“ 한편 John Squire는 이렇게 말했다. ”한 개인에 대한 살의가 섞인 공격입니다. 누군지 말 못하지만 Ian이랑 내가 아는 어떤 사람입니다.“ Q 매거진은 “I Am the Resurrection“을 ‘가장 대한 100곡의 기타 트랙’에서 10위에 꼽았다. NME는 ‘가장 위대한 50곡의 인디 찬가’에서 8위로 꼽았다. 싱글 커버는 정식 앨범 커버와 마찬가지로 기타를 맡은 John Squire가 Jackson Pollock 스타일로 만들었다.

뮤직비디오

Go West

Pet-Shop-Boys-Go-West-22506.jpg
Pet-Shop-Boys-Go-West-22506”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http://eil.com/newgallery/Pet-Shop-Boys-Go-West-22506.jpg. Licensed under Wikipedia.

Go West는 1970년대 디스코 그룹 Village People이 1979년 싱글로 발표한 곡이다. 하지만 이 곡은 당시에 발표된 그룹의 다른 싱글인 Y.M.C.A. 나 In The Navy의 인기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다. 19세기 미국 언론인인 Horace Greeley가 젊은이들에게 당시까지도 미개척지인 서부를 개척하라고 격려한 “Go West, young man”에서 제목을 따왔다는 이 노래는 1993년 Pet Shop Boys가 리메이크한 후에야 비로소 인기를 얻게 되었다. Village People의 리드싱어 Victor Willis가 이 곡을 동성애자의 주제가가 되리라는 생각을 가지고 만든 것이 아니라고 말했지만, 많은 이들이 이 노래를 동성애 해방운동의 메카 중 하나였던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1992년 Derek Jarman은 Pet Shop Boys에게 맨체스터의 하시엔다 클럽에서 있을 AIDS 자선 이벤트에서 공연을 해달라고 요청한다. Chris Lowe는 Go West를 연주할 곡으로 골랐다. 공연 도중 Neil Tennant가 가사를 까먹긴 했지만 둘은 이 곡을 싱글로 만들기로 마음먹었다. 1993년 이 곡이 새 앨범 Very의 싱글로 발매됐고 영국에서 싱글 차트 2위, 독일에서 싱글 차트 1위까지 올랐다. Howard Greenhalgh가 감독한 컴퓨터그래픽이 전폭적으로 사용된 뮤직비디오는 다소 모호한 이미지를 전달한다. 헬멧을 쓴 독특한 복장의 Pet Shop Boys가 등장하는 가운데 소비에트의 군인으로 보이는 사나이들이 진군을 한다. 레닌의 부조도 보이고 흑인 여성에 빨간 옷을 입은 자유의 여신상도 등장한다. 소비에트가 붕괴된 당시의 상황을 빗대어 친서방 이미지인 것인지 상황을 역전시켜 소비헤드가 서방을 함락시켰다는 것인지 헷갈린다.

뮤직비디오

Vogue

VogueBerlin2.jpg
VogueBerlin2” by U2005.comMadonna Berlin 2012-06-30. Licensed under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1990년 5월 19일 Madonna의 “Vogue”가 빌보드 핫100차트 1위에 올라 3주간 머물렀다. Madonna와 Shep Pettibone가 쓰고 프로듀스한 이 곡은 Madonna Louise Veronica Ciccone의 여덟 번째 1위곡이 되었다. 이 곡은 Madonna가 뉴욕에 있는 The Sound Factory 클럽에서 본 “voguing”이라 불리는 스타일리쉬한 댄스의 공연을 보고 영감을 받아 만든 곡이다. 1960년대 뉴욕의 언더그라운드의 게이클럽 등지에서 유래된 이 춤은 마치 모델들의 포즈 모양인 것과 같은 각진 춤동작을 취하기 때문에 패션 잡지 “Vogue”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음악적으로는 당시 유행하던 최신 조류에 따라 하우스 스타일로 프로듀스되었다. 가사는 복잡한 현실에서 도피해 댄스 플로어에서 춤을 즐기라는 내용인데, 곡 중간에는 나레이션도 있는데 할리우드의 황금시대에 인기를 끌었던 연예인들의 이름이 불려진다. Madonna는 이 곡을 그녀의 스튜디오 앨범 Like a Prayer의 다섯 번째 싱글 “Keep It Together”의 B-side 곡으로 쓰려 했다. 이를 안 Warner Bros는 그녀를 설득해서 영화 “Dick Tracy”의 사운드트랙 앨범이라 할 수 있는 “I’m Breathless”에 넣었다. 뮤직비디오는 Se7en으로 유명한 David Fincher가 맡았는데, 1920년대를 암시하는 흑백 화면을 배경으로 Madonna의 할리우드의 여러 여배우에 대한 오마쥬와 댄서들의 안무로 강렬한 인상을 준다. 비평가들은 이 곡과 뮤직비디오가 하우스 뮤직이라는 메인스트림과 디스코적인 작곡, 그리고 언더그라운드의 춤 문화를 주류에 끌어올렸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Madonna의 전성기에 나온 가장 인상적인 곡과 비디오라고 평가한다. 전 세계에 6백만 장이 넘는 싱글을 팔아치우며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뮤직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