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r Window

히치콕의 제작 의도는 명백해 보인다.

“너희들도 훔쳐보고 싶잖아. 그치?”

문명이 발전하면 할수록 사회는 짐짓 점잔을 빼며 남의 일에는 참견하는 것이 아니라는 일종의 Privacy 의 개념을 발전시켜왔다. Curiosity Killed The Cat, Nono Of Your Business 등과 같은 영어 관용구는 이러한 문화를 반영한 것이다. 그런데 인간에게 – 또는 동물에게 – 호기심은 어쩔 수 없는 본능이다. 붐비는 거리 한 가운데서 누가 하늘을 바라보고 있으면 너도 나도 하늘을 쳐다보고야 마는 그 억제할 수 없는 본능이 누구에게나 내재해있다. 영화는 이러한 인간의 본능을 남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함이 없이 충족시켜주는 적절한 매체이다. 작품 속 주인공인 L.B. Jeffries(James Stewart)은 다리를 다쳐 깊스를 하는 바람에 영화를 보러가거나 하는 그런 욕구분출구가 없었다. 그래서 옆집의 안방을 슬금슬금 훔쳐보기 시작했다. 관객은 주인공의 눈을 통해 이 훔쳐보기에 동참했다. 때마침 그의 훔쳐보기를 정당화시켜줄만한 일이 벌어졌다. 살인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옴짝달싹할 수 없는 Jeff 는 몸이 달아 이 상황을 애인에게 알리고 애인(Grace Kelly)은 그의 발을 대신해 살인현장에 잠입한다. 한정된 공간과 주인공의 한정된 능력이라는 설정은 스릴러의 긴장감을 극대화시키는데 한 몫 한다. 결국 살인사건을 해결하게 됨으로써 주인공은 영웅이 되었지만 그의 훔쳐보기는 Michael Powell 의 1960년 작 Peeping Tom 의 주인공의 그 음란한 훔쳐보기에 비해 도덕적으로 우월할 것이 없다. 훔쳐보기란 애당초 사건해결로 정당화될 수 없는 일종의 원죄로 낙인찍힐 수밖에 없는 어쩔 수 없는 본능인 것이다. Brian De Palma 감독이 Body Double에서 이러한 설정을 오마쥬했다.

답글 남기기